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항만 노사, '62% 임금 인상' 잠정 합의… 파업 3일 만에 종료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1

美 항만 노사, '62% 임금 인상' 잠정 합의… 파업 3일 만에 종료

"미국 경제 마비 막았다"… 바이든 정부 중재, 극적 타결

컨테이너가 미국 버지니아주 포츠머스 해양 터미널(PMT)에 쌓여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컨테이너가 미국 버지니아주 포츠머스 해양 터미널(PMT)에 쌓여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 동부 및 걸프 연안 항만 노동자들이 3일 만에 파업을 종료하고 업무에 복귀하기로 했다. 노사 양측은 6년간 임금을 약 62% 인상하는 내용의 잠정 합의안에 도달했다고 3일(현지시간) 밝혔다.

임금 62% 인상… 평균 시급 63달러로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이번 합의안에는 6년간 임금을 약 62% 인상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에 따라 항만 노동자들의 평균 시급은 현재 39달러에서 약 63달러로 오르게 된다.

국제항만노동자협회(ILA)는 당초 77%의 임금 인상을 요구했지만, 사용자 측인 미국해사연합(USMX)은 50% 인상안을 제시하며 맞섰다. 양측은 팽팽한 줄다리기 끝에 62% 인상에 잠정 합의했다.

47년 만의 대규모 파업… 경제 마비 우려 속 극적 타결

이번 파업은 1977년 이후 47년 만에 벌어진 최대 규모의 항만 노동자 파업이었다. 메인주에서 텍사스주까지 36개 항구, 4만 5000여 명의 노동자가 참여하면서 미국 경제 마비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파업으로 인해 컨테이너선 하역 작업이 중단되면서 바나나, 자동차 부품 등 각종 상품의 공급에 차질이 빚어졌다. 항구 밖에는 하역을 기다리는 선박들이 길게 줄지어 서는 등 물류 대란이 현실화되는 분위기였다.

하지만 노사 양측은 파업 장기화에 따른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극적으로 합의점을 찾았다. 잠정 합의안에는 2025년 1월 15일까지 주요 계약을 연장하고 미해결 문제를 계속 협상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바이든 정부 적극 개입… "노동자 목소리 경청"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번 잠정 합의를 환영하며 "강력한 계약을 향한 중요한 진전"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집단 협상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파업 초기부터 노조 측 입장에 힘을 실어주며 사용자 측에 양보를 압박했다. 백악관은 협상 타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중재에 나섰으며, 제프 자이언츠 백악관 비서실장은 해운사 CEO들과 직접 화상 회의를 갖고 협상 타결을 촉구하기도 했다.

특히 백악관은 연방 정부 권한을 이용해 파업을 강제 중단시키라는 기업들의 요구를 거부했다. 이는 11월 대선을 앞두고 노조의 지지를 잃지 않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자동화 문제 등 쟁점은 여전히 남아… 추가 협상 과제


이번 잠정 합의로 파업은 일단락됐지만, 자동화 도입에 따른 일자리 감소 문제 등 쟁점은 여전히 남아 있다. 노조는 자동화로 인해 일자리가 줄어들 것을 우려하며, 사측에 자동화 프로젝트 중단을 요구하고 있다.

노사 양측은 앞으로 남은 쟁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추가 협상을 이어갈 예정이다. 향후 협상 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되지만, 이번 잠정 합의는 미국 경제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안정적인 공급망 유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가 경제에 좋은 소식"… 안도하는 산업계


산업계는 이번 합의를 크게 환영했다. 전미소매업연맹(NRF)은 "파업 종료와 항만 재개는 국가 경제에 좋은 소식"이라며 "최종 합의가 이뤄지면 모든 미국 가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전미제조업협회(NAM)의 제이 티몬스 CEO는 "냉정한 판단이 승리했고 항만이 다시 열리게 됐다"며 "이는 모든 관련 당사자의 승리"라고 평가했다. 그는 "일자리를 보존하고 공급망을 보호하며 추가적인 경제적 혼란을 예방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이번 합의로 미국 경제는 최악의 상황을 면하게 됐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파업 장기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공급망 다변화 등 장기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이태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j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