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엔비디아, 3000달러 AI 슈퍼컴퓨터로 PC 시장 지형도 바꾼다

글로벌이코노믹

엔비디아, 3000달러 AI 슈퍼컴퓨터로 PC 시장 지형도 바꾼다

페타플롭 성능 '프로젝트 디지츠' 5월 출시...AI 컴퓨팅 대중화 신호탄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로보택시 AI 컴퓨터를 보여주고 있다. 사진=로이터  이미지 확대보기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로보택시 AI 컴퓨터를 보여주고 있다. 사진=로이터
AI(인공지능) 반도체 강자 엔비디아가 최첨단 개인용 AI 슈퍼컴퓨터를 선보이며 PC 시장 판도 변화를 예고했다.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60% 이상을 점유한 한국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AI PC 시대에 대비한 전략 수립에 들어갔다.

미국 금융투 전문지 배런스는 10일(현지시각) 엔비디아가 CES 2025에서 공개한 '프로젝트 디지츠'가 AI 컴퓨팅의 대중화를 이끌 획기적 제품이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은 CES 기조연설에서 "모든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AI 연구자, 학생의 책상에 AI 슈퍼컴퓨터를 배치해 AI 시대 참여를 이끌겠다"고 밝혔다.

프로젝트 디지츠는 애플의 맥미니처럼 책상 위에 놓을 수 있는 작은 크기지만, 슈퍼 컴퓨터급 성능을 갖췄다. 핵심 부품인 GB10 그레이스 블랙웰 칩은 초당 1000조 번의 연산이 가능한 1페타플롭 성능을 제공한다. 메모리는 128기가바이트(GB), 저장 공간은 4테라바이트(TB)를 탑재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챗GPT 3.5보다 더 큰 규모의 AI 모델을 처리할 수 있으며, 두 대를 연결하면 성능이 두 배로 늘어난다.
이 제품은 AI 전문가들을 위한 강력한 개발 도구도 제공한다. 리눅스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전용 소프트웨어를 탑재했고, 엔비디아의 NGC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AI 개발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인기 있는 AI 개발 언어인 파이토치와 파이썬을 지원하며, 노트북 형태로 코딩할 수 있는 주피터도 제공한다. 클라우드나 데이터센터와 연결해 더 큰 규모의 AI 개발도 가능하다.

시장조사기관 마켓리서치퓨처에 따르면 AI 슈퍼컴퓨터 시장은 2034년까지 매년 19.18% 성장해 387억9000만 달러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배런스는 현재 2220억 달러 규모인 PC 시장의 25%가 AI PC로 전환되면 시장 규모가 86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

이번 제품 출시는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을 주도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새로운 기회가 될 전망이다. AI PC는 기존 PC보다 4~8배 많은 고성능 메모리를 필요로 한다. 특히 두 기업이 세계 시장 점유율 90% 이상을 차지하는 HBM(고대역폭 메모리)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3000달러라는 높은 가격은 일반 소비자의 접근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최근 금리 인상과 경기 둔화 우려도 시장 확대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AI 윤리 문제와 관련한 각국의 규제 강화 움직임, 기존 윈도우 프로그램들과의 호환성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지적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