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7억 달러 들여 1만3000헥타르 매입 후 개발 무산
수소·태양광 사업 검토설에도 구체적 계획 공개 없어
ABC "탐사보고서 정보공개 요청도 거부당해“
수소·태양광 사업 검토설에도 구체적 계획 공개 없어
ABC "탐사보고서 정보공개 요청도 거부당해“

18일(현지 시각) 호주 공영방송 ABC뉴스가 현장 취재를 통해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한국전력은 2010년 다국적 기업 앵글로-아메리칸으로부터 바이롱 밸리의 석탄 매장지를 인수했다. 이후 7억 달러를 투자해 1만3000헥타르의 부지를 매입하며 본격적인 개발을 추진했다. 당시 개발 과정에서는 1900년대 초반에 묻힌 시신을 다른 곳으로 이장하는 방안까지 논의됐다.
한국전력은 2018년 공식 채굴 제안서를 제출해 당시 연립정부의 승인을 받았다. 그러나 뉴사우스웨일스(NSW)주 독립계획위원회(IPC)는 2019년 환경과 지하수, 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이유로 개발을 불허했다. 한국전력은 이에 불복해 법적 대응에 나섰으나, 토지환경법원과 항소법원을 거쳐 2022년 2월 호주 고등법원에서도 최종 기각됐다. 이로써 한국전력은 바이롱 밸리에서 석탄광산을 개발하기 위한 모든 법적 수단을 소진하게 됐다.
개발 무산 이후 한국전력은 수소 프로젝트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아시아 언론들은 이 회사가 태양광발전소 타당성 조사도 진행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구체적인 계획은 공개되지 않고 있다. 현재 이 부지는 대형 방목회사에 임대된 상태다.
호주 훈장(OAM)을 받은 현지 농부 피터 그리브는 ABC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곳은 호주 연방에서 가축을 기르기에 가장 비옥한 땅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그는 "태양광 발전은 생산성이 낮은 다른 지역에서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바이롱 토지소유자 메란 올런드는 "뉴사우스웨일스주 농경지 상위 2%에 속하는 이 지역을 왜 파괴하려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바이롱 밸리 보호연합은 이 지역을 농업혁신 허브로 전환하자고 제안했다. 올런드는 "이곳을 재생 농업과 유기농, 교육의 세계적 모델로 만들 수 있다"고 제안했다.
환경보호단체 록 더 게이트(LTG)의 NSW 코디네이터 닉 클라이드는 "계곡의 최대 토지소유자가 지역사회와 소통을 거부하면서 미래 계획이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정부가 나서서 한전과의 협상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ABC뉴스는 한국전력의 탐사보고서를 정부정보공개법에 따라 요청했으나 거부당했다고 밝혔다. 또한, 한국전력 시드니 사무실과 한국 본사에 수차례 연락을 시도했으나 회사 측은 인터뷰를 거부했고 해당 부지 관련 질문에도 답변하지 않았다고 한다. NSW주 정부의 폴 스컬리 계획부 장관, 코트니 후소스 자원부 장관, 페니 샤프 에너지환경부 장관, 타라 모리아티 지역부 장관도 모두 인터뷰를 거부했다.
NSW주 정부는 성명을 통해 "탐사 허가 갱신 신청은 1992년 광산법과 정부의 탐사 규제 프레임워크에 따라 평가될 것"이라고만 밝혔다. 이에 대해 환경보호단체 록 더 게이트(LTG)의 NSW 코디네이터 닉 클라이드는 "정부가 분명한 입장을 밝히지 않으면서 지역의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