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데이터 자산화 세계 첫 정책 시행 결과는? "갈 길이 멀다"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데이터 자산화 세계 첫 정책 시행 결과는? "갈 길이 멀다"

복잡한 규정과 높은 준수 비용에 기업들 외면, 6000만 기업 중 283개사만 도입
2017년 9월 28일, 사람들이 중국 상하이 푸동의 상하이 금융 지구 앞에서 와이탄을 방문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2017년 9월 28일, 사람들이 중국 상하이 푸동의 상하이 금융 지구 앞에서 와이탄을 방문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중국이 세계 최초로 기업들이 데이터를 자산으로 등록할 수 있는 정책을 시행했으나, 참여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레스트 오브 월드(Rest of World)가 최근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중국 내 6000만 등록 기업 중 약 283개사(약 0.00047%)만이 데이터를 자산으로 기록했다.

국영 통신사 중국 유니콤은 최근 발표한 실적 보고서에서 2억400만 위안(약 480억 원) 규모의 데이터를 자산으로 등록했다. 중국 재정부가 지난해 1월 시행한 이 정책은 기업들이 데이터를 재고 또는 무형 자산으로 대차대조표에 기록할 수 있게 허용한다.

중국의 데이터 생산량은 방대하다. 정부 조사에 따르면 2023년 한 해 동안 중국은 32.85 제타바이트의 데이터를 생성했으며, 이는 전 세계 총량의 27% 이상을 차지한다. 1 제타바이트는 10²¹ 바이트로, DVD 약 2500억 장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용량과 비슷하며, HD 화질 비디오를 약 3만6000년 동안 재생할 수 있는 용량이다. 국제데이터회사(IDC)의 보고서는 2025년까지 중국의 데이터 생성량이 48.6 제타바이트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른 어떤 국가도 국가 차원에서 이런 시도를 하고 있지 않다. 이는 데이터 관리와 회계의 글로벌 표준을 주도할 수 있다"고 아시아 소사이어티 정책연구소의 란 궈(Ran Guo) 연구원은 레스트 오브 월드에 말했다.

그러나 상하이 자오통 대학의 추정에 따르면, 이 정책 시행 이후 데이터 자산을 등록한 기업은 상장사 55개와 비상장사 228개에 불과했다. 이 중 18개사만이 IT 서비스 및 소프트웨어 산업에 속했다.

"이는 비용이 많이 들고 복잡할 수 있다"고 란 궈는 설명했다. "모든 데이터가 자산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기업들은 엄격한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베이징 소재 중견 기술 기업의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새로운 회계 정책을 채택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다"며 "작은 회사들은 대기업들의 행보를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 임원은 정부 정책에 관한 발언 위험 때문에 익명을 요청했다.

중국 정부는 최근 더 많은 기업이 데이터를 개방하도록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네 개 정부 기관은 기업들이 "데이터 서비스 역량을 개방"할 경우 데이터 자원을 보호하겠다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2022년 설립된 국가데이터관리국(NDA)의 류레홍(Liu Lehong) 국장은 지난해 7월 "데이터가 핵심 생산 요소인 디지털 경제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의 데이터 자산화 노력은 2015년 구이양 빅데이터 거래소 설립으로 시작됐으며, 현재 대부분의 중국 성에는 자체 데이터 교환소가 있다. 그러나 캐나다 국제거버넌스혁신센터의 알렉스 허(Alex He) 선임 연구원에 따르면, 이러한 초기 시도들은 "약한 표준, 데이터 품질 문제 및 낮은 신뢰로 인해 실패"했다.

알리바바와 바이두 같은 다국적 기업들은 특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다국적 기업들은 서로 다른 국가들이 데이터에 대해 다른 규칙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막대한 위험과 높은 준수 비용에 직면해 있다"고 알렉스 허는 설명했다.

데이터를 자산으로 측정하기 위한 글로벌 표준은 아직 존재하지 않지만, 유엔에서 관련 논의가 진행 중이다. 란 궈는 "베이징은 중국 기업 대다수가 참여하지 않더라도, 조기에 국가 표준을 채택함으로써 글로벌 회계 규범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위치를 확보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베이징은 확실히 기존 데이터 트로브를 개선하고 활용하기 위한 골드 러시를 추진하고 있다"고 란 궈는 말했다. "데이터는 본질적으로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정부는 기업들이 데이터 수집의 품질과 투명성을 개선해 가치를 창출하기를 원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