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고용 시장 '연령 차별' 심화…35세 이상 '구직난'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고용 시장 '연령 차별' 심화…35세 이상 '구직난'

국회의원들, 정부 차원 대책 촉구…청년 선호 기업 문화 비판
정년 연장 정책과 '역행'…사회 문제로 비화 가능성 경고
2023년 2월 16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취업 박람회에 참석한 구직자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2023년 2월 16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취업 박람회에 참석한 구직자들. 사진=로이터
중국 고용 시장에서 35세 이상 구직자들에 대한 차별이 심화되고 있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국회의원들은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며, 청년층을 선호하는 기업 문화를 비판하고 있다고 13일(현지시각)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취업 시장에서는 채용 연령 제한, 기혼 여성에 대한 편견, 비명문대 졸업생에 대한 차별 등 다양한 형태의 차별이 공공연하게 드러나고 있다. 특히, 35세 이상 구직자들은 이러한 차별로 인해 더욱 불안한 상황에 놓여 있다.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의 정공청 부대표는 "많은 대학과 정부 부처가 박사 학위 취득자를 채용할 때 35세의 연령 제한을 부과하고 있다"며, 이는 공정한 고용 원칙에 어긋날 뿐만 아니라 젊은이들에게 중단 없는 학업 진로를 강요하여 경력을 중단하거나 조정할 여지를 거의 주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35세 이상에 대한 차별은 공무원 채용의 연령 제한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민간 부문의 고용 관행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청년 구직자가 많은 대도시에서는 인터넷 및 하이테크 산업을 중심으로 젊고 저임금 직원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
하지만 이러한 고용 시장의 연령 차별은 중국 정부가 추진하는 정년 연장 정책과도 상충된다. 중국은 지난해 2040년까지 은퇴 연령을 최대 5년까지 점진적으로 올리는 계획을 승인했지만, 35세 이상에 대한 직장 내 차별이 만연해 경력 단절을 초래하고 있다.

전인대 의원들은 정부 기관, 공공 기관, 국영기업이 연령 차별 철폐에 앞장설 것을 촉구하고 있다. 정공청 부대표는 "고용 연령 차별이 점점 더 가시화되고 있으며 불만이 커지고 있다"며, "악화되는 추세를 억제하고 대중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시급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류시야 전인대 대표는 공무원 연령 제한을 40세 또는 45세로 상향 조정할 것을 제안했고, 멍위안 부대표는 연령 차별을 금지하는 노동법 개정을 제안했다. 하지만 올해 공무원 시험 요건에는 여전히 18세에서 35세까지의 연령 제한이 설정되어 있으며, 40세까지는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새로 취득한 사람만 지원할 수 있다.

중국 최고 정치 자문 기관인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의 장성난 위원은 35세 이상에 대한 차별이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문제"라고 지적하며,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개입을 촉구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