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인도-파키스탄, 핵무장 국가 간 긴장 최고조…국제사회 “우려할 수준”

글로벌이코노믹

인도-파키스탄, 핵무장 국가 간 긴장 최고조…국제사회 “우려할 수준”

7일(현지시각) 파키스탄령 카슈미르 무자파라바드 인근에서 주민들과 취재진이 인도의 미사일 공격으로 추정되는 공격으로 피해 입은 현장을 살피고 있다. 인도 정부는 이날 새벽 파키스탄령 카슈미르 9곳을 공격하는 ‘신두르 작전’을 개시했다고 밝혔다. 사진=AP/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7일(현지시각) 파키스탄령 카슈미르 무자파라바드 인근에서 주민들과 취재진이 인도의 미사일 공격으로 추정되는 공격으로 피해 입은 현장을 살피고 있다. 인도 정부는 이날 새벽 파키스탄령 카슈미르 9곳을 공격하는 ‘신두르 작전’을 개시했다고 밝혔다. 사진=AP/뉴시스
인도와 파키스탄 간의 갈등이 수십 년 만에 최고조에 달하며 핵무기를 보유한 두 국가의 무력 충돌 가능성에 국제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스카이뉴스는 양국 간 최근의 무력 충돌이 과거보다 훨씬 위험한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고 7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이번 사태의 발단은 지난달 22일 인도령 카슈미르의 휴양지 파할감 인근 초원에서 무장세력이 민간인을 향해 무차별 총격을 가한 사건이었다. 이 공격으로 26명이 숨지고 수십 명이 다쳤으며 피해자는 대부분 가족 단위로 여행 중이던 관광객들이었다. 특히 희생자 다수가 남성이었고 일부는 가족 앞에서 처형되다시피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인도 정부는 파키스탄이 무장단체를 은닉·지원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난하며 보복 공격을 감행했다. 인도는 전날 새벽 파키스탄령 카슈미르 지역 내 무장세력 시설 9곳을 정밀 타격하는 ‘신두르 작전(Operation Sindoor)’을 단행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사건 직후 “세계에 선언한다. 인도는 모든 테러리스트와 그 배후를 추적해 끝까지 처벌할 것”이라면서 “인도의 의지는 결코 테러에 꺾이지 않는다. 테러는 반드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후 인도는 파키스탄 군사고문 추방, 비자 발급 중단, ‘인더스 물 협정’ 유예 등 외교적 보복에 나섰고, 이에 대해 파키스탄은 “물 협정 유예는 전쟁 행위”라고 반발하며 자국 안보회의를 긴급 소집해 대응 조치를 논의했다.

양국은 지난 1947년 영국으로부터 각각 독립한 이래 여러 차례 전면전과 국지전을 벌였으며 1999년 카르길 전쟁, 2008년 뭄바이 테러, 2019년 인도군 차량 대상 자살폭탄 공격 이후에도 극심한 군사적 긴장이 이어져 왔다. 특히 이번에는 전례 없이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민간인 학살이 직접적인 도화선이 된 점에서 사태가 더욱 심각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스카이뉴스는 “카슈미르는 두 핵무장국 사이의 영토 갈등의 상징이자 뇌관으로, 지금과 같은 신뢰 결여 속에서는 외교적 해법도 요원한 상황”이라며 “이번 충돌은 향후 세계 안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