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세 부과 이전에도 드러난 경제 취약성...전문가들 "4~6월 더 큰 타격 예상"
소비자 지출 정체, 에너지·식품 가격 상승이 주 원인...일본은행 금리 인상 연기 가능성
소비자 지출 정체, 에너지·식품 가격 상승이 주 원인...일본은행 금리 인상 연기 가능성

이번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닛케이 그룹 회사인 QUICK이 조사한 경제학자들의 예측치인 0.19% 감소보다 더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다. 수출은 전 분기 대비 0.6% 감소한 반면, 수입은 2.9% 증가해 무역 부문이 성장률을 끌어내렸다.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아시아 태평양 책임자 마르셀 틸리안은 "국민계정 데이터는 관세가 선행되고 있다는 증거를 거의 보여주지 않는다"며, 일본은행이 지난 회의에서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한 결정이 "입증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그는 "일본은행이 현재 예측하는 대로 빠르면 7월에 긴축 정책을 펴지 않을 가능성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는 것 같다"고 전망했다.
NLI 연구소 사이토 타로 경제연구실장은 "수출은 부진한 반면, 수입은 지난 분기 하락에 반발해 크게 증가해 외부 수요가 성장률을 크게 끌어내렸다"고 분석했다.
GDP에 가장 큰 기여를 하는 민간 소비는 2025년 1분기에 전 분기 대비 변동이 없었다. 노무라 연구소의 수석 경제학자 키우치 타카히데는 "소비자 지출 부진은 1월부터 3월까지 GDP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라며, 그 원인을 에너지와 식품 가격의 지속적인 상승에서 찾았다. 특히 "쌀과 신선한 채소 가격 급등으로 지난해 말부터 소비자 지출이 크게 위축됐다"고 지적했다.
이번 1분기 실적은 4월 미국이 관세를 부과하기 전에도 일본 경제의 취약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관세의 영향이 2분기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키우치 경제학자는 "관세의 영향은 4월에서 6월 분기에 더 많이 나타나기 시작할 것 같다"며, "이번 분기의 낮은 성장률은 트럼프 관세가 일본 경제를 더욱 불황으로 몰아넣을 것임을 시사한다"고 경고했다.
UBS 증권의 경제학자 아다치 마사미치와 쿠리하라 고는 "올해 2분기에 노골적인 약세가 나타날 것으로 보이며, 관세와 불확실성 충격으로 인해 수출이 급감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들은 특히 "소비자 신뢰지수의 추가 하락"을 우려 요인으로 지목했다.
미국의 관세 부과가 일본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QUICK이 조사한 경제학자들은 일본의 GDP를 0.4%포인트에서 0.6%포인트까지 축소시킬 것이라는 전망을 가장 많이 제시했다.
일본 정부와 중앙은행은 이러한 경제 둔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일본은행은 당초 7월 금리 인상을 검토했으나, 이번 성장률 부진으로 긴축 정책을 연기할 가능성이 커졌다.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의 관세 협상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한편, 내수 진작을 위한 경기 부양책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일본 경제가 구조적인 문제인 인구 감소와 생산성 저하, 임금 정체 등에 더해 미국의 관세 부과라는 외부 충격까지 겹치면서 어려운 상황에 처했다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이 일본 수출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황에서 미국의 관세 부과는 일본 제조업에 상당한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