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가 중국 측과의 협력 속에서 인권 문제 논란이 있는 기관과 접촉하거나 캠퍼스 내 정치적 감시를 묵인해왔다고 주장하고 있다.
25일(이하 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하버드대가 중국 공산당의 영향력 아래 놓여 있으며 이로 인해 미국 안보가 위협받고 있다는 이유로 외국 유학생 등록 허가를 철회하려 시도했다. 하버드대는 이에 반발하며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고 연방법원은 행정부 조치의 효력을 일시 중단시켰다.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로이터와 인터뷰에서 “하버드는 오랫동안 중국 공산당이 캠퍼스를 악용하도록 방치해왔다”며 “캠퍼스 내에서 중국 정부 지지 성향 학생들이 자행하는 감시와 괴롭힘을 외면했다”고 주장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하버드대와 중국의 관계는 수십 년 전부터 이어져왔다. 특히 양국 간 학술 교류와 재정적 기여는 하버드의 국제적 위상 강화에 기여했지만 최근에는 정치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인 유학생은 지난해 기준 하버드 외국 유학생의 약 5분의 1을 차지했으며 이들 가운데 일부는 중국 당국과의 연계를 의심받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가 지난 2020년 미국 정부 제재를 받은 신장건설병단 소속 인사들에게 공공 보건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왔다며 비판 수위를 높이고 있다. 미국 국토안보부는 이같은 접촉이 지난해까지 이어졌다고 밝혔다. 신장건설병단은 위구르족 등 무슬림 소수민족에 대한 인권 침해 혐의로 미국의 제재 대상에 올라 있다.
논란은 이뿐만이 아니다. 하버드대 공중보건대학은 지난 2014년 홍콩 부동산 개발업자 T.H. 찬의 이름을 따 개명됐는데 이 기금 3억5000만 달러(약 4760억원)를 주선한 찬의 아들 로니 찬이 중국-미국 교류재단(CUSEF)의 이사라는 점이 도마에 올랐다. 이 단체는 미국에서 외국 정부 대리인으로 분류돼 로비 활동 시 별도 등록이 요구된다.
하버드 출신 인권 연구자인 야추 왕은 “중국 당국의 억압과 감시 문제는 실제로 심각하다”면서도 “이를 빌미로 외국 유학생 전체를 배제하려는 트럼프 행정부의 시도는 전혀 타당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하버드 측은 트럼프 행정부의 외국 유학생 등록 철회 조치가 “정치적 보복”이며 표현의 자유를 보장한 미국 수정헌법 제1조 위반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