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단행한 대규모 수입 관세의 영향은 아직 물가에 본격적으로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CNBC는 미국 노동부 산하 노동통계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지수(CPI) 보고서를 인용해 CPI가 지난달 0.1% 상승하고 연율 기준으로는 2.4% 상승했다고 1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는 금융정보업체 다우존스가 집계한 이코노미스트 예상치인 0.2%(전월 대비 상승률)에는 못 미치며 연간 상승률은 예상치와 같았다.
CNBC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연료 및 서비스 부문 가격의 하락이 전체 물가 상승을 억제하는 데 기여했다”고 전했다.
품목별로 보면 에너지 가격은 전달보다 1% 하락했고, 신차와 중고차 가격도 각각 0.3%, 0.5% 하락했다. 의류 가격 역시 0.4% 떨어졌다. 반면 식료품과 주거비는 모두 0.3% 상승했다. BLS는 “주거비 상승이 전체 CPI 증가의 주요 원인”이라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관세로 인한 수입 원가 상승이 당장의 소비자 가격에 반영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CNBC는 전했다. 전문가들은 그 이유로 “소매업체들이 관세 시행 전 들여온 재고를 중심으로 판매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향후 관세가 본격 반영될 경우 의류·가전·자동차 등 주요 품목에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2일 ‘해방의 날(Liberation Day)’ 선언을 통해 미국이 수입하는 전 품목에 대해 10%의 보편적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동시에 중국 등 일부 국가에는 ‘상호주의 관세’라는 이름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며 글로벌 무역 긴장을 고조시켰다.
연준 내부에서는 이러한 관세가 물가를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일부 위원들은 “관세가 공급망을 압박하고 소비자 가격을 점진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번 CPI 발표 이후 시장 반응도 주목된다. 물가가 예상보다 덜 올랐다는 소식에 미국 주가지수 선물은 상승세로 전환됐다. 이는 미국의 기준금리 동결 기조가 유지될 가능성에 힘을 실어주는 신호로 해석된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