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하반기까지 온스당 2500~2700달러 수준으로 떨어질 것"
이미지 확대보기17일(현지 시각)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씨티그룹의 맥스 레이턴 등 애널리스트들은 보고서에서 “금값이 2026년 하반기까지 온스당 2500~2700달러 수준으로 되돌아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애널리스트들은 금값 하락 배경으로 △투자 수요 둔화 △글로벌 성장 전망 개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등을 지목했다.
올해 들어 금값은 30% 가까이 급등하며 지난 4월에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오락가락하는 통상 정책과 중동의 지정학적 위기가 안전자산 수요를 자극한 데 따른 것이다. 여기에 미국의 재정 적자와 자산 가격에 대한 우려, 외환보유고 다변화 차원에서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입 확대도 금 가격 상승세를 지지해 왔다.
보고서는 또한 “연준이 현재의 제약적 통화정책에서 중립 수준으로 금리를 인하할 여지가 크다”고 덧붙였다.
씨티는 전체 시나리오 중 60% 확률로 금값이 단기적으로 온스당 3000달러를 웃도는 수준에서 횡보한 뒤 하락세로 전환할 것으로 전망했다. 은행은 이어 3분기 중 무역 관세, 지정학적 위험,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우려로 금값이 사상 최고가를 다시 경신할 확률을 20%로 제시했다.
은행은 또한 동일한 20%의 확률로 금값이 관세 문제의 조기 해결 등으로 급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금 현물 가격은 이날 뉴욕 시장 초반 온스당 3385달러 부근에서 보합권 중심의 등락을 거듭했다.
이수정 기자 soojunglee@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