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주도 무허가 공장, 현지인·소수민족 일꾼 고용...K-배터리 슬래그 대량 적발

하노이시 경찰은 지난 26일, 도시 북쪽 소크선(Sóc Sơn)군 푸로(Phù Lỗ) 마을에서 산업 쓰레기 1623톤을 허가 없이 묻은 혐의로 관련자들을 고소했다고 밝혔다. 이 쓰레기는 주로 납 찌꺼기로, 무허가로 운영한 금속 재활용 공장에서 나왔다. 공장은 중국인이 보유했고, 현지인과 소수민족 일꾼 약 40명을 고용해 작업을 했다.
공장은 지난해 7월부터 가동을 시작해, 무허가로 약 6,000㎡ 크기의 농지에 자리했다. 쓰레기는 공장 앞뒤 낮은 땅과 강가에 무단으로 묻혔다. 조사 결과, K-배터리 재활용물 등 외국산 원료가 이 공장에 들어간 정황도 드러났다. 현장에서는 K-배터리 찌꺼기도 대량으로 적발됐다.
◇ 불법 매립 집단과 생산 구조
공장은 주로 납을 재활용해 중간 제품(피스)을 만든 뒤 중국으로 보냈다. 원료는 베트남 여러 곳에서 모은 폐배터리 찌꺼기로, 1kg에 1500~6300동(약 78~328원)에 샀다. 생산 과정에서 원료 1,000kg당 약 300kg 제품이 나왔고, 700kg 쓰레기가 생겼다. 이 쓰레기는 모두 공장 근처에 법을 위반하고 묻혔다.
매립 방법도 조직적이었다. 공장 안팎 낮은 땅과 강가에 쓰레기를 쌓다가, 더 쌓을 곳이 없자 2024년 12월 두께 20~25cm 콘크리트로 덮어 불법 매립 사실을 숨기려 했다. 2025년 3월에는 쓰레기를 공장 앞 연못에 쏟고 흙으로 덮어 범행 사실을 숨겼다.
◇ 환경오염과 사회적 영향
이번 불법 매립 사건 때문에 하노이 일대 환경오염이 심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쓰레기가 묻힌 곳은 농지와 강가로, 납 등 무거운 쇠가 땅과 물을 더럽힐 가능성이 크다. 이에 마을 사람들은 건강과 생태계 손해를 걱정한다.
하노이시 경찰은 지난 20일, 관련자 4명(부쑤안동, 마오신송, 응우옌프엉흥, 응우옌프엉호안)을 환경오염 혐의로 고소했다. 경찰은 더 관련 집단과 원료 유통 경로를 조사 중이다. 하노이시는 앞으로도 환경오염 범죄에 대해 예외 없이 엄하게 다룰 방침이라고 밝혔다.
◇ 불법 매립 집단의 운영과 환경 피해
이번 사건은 중국인이 조직을 꾸린 불법 금속 재활용 집단이 베트남 현지인과 소수민족을 끌어들여 대규모 불법 매립을 벌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쓰레기 처리 비용을 줄이려는 불법 업체의 이익 추구와 환경 규제가 약한 현지 상황이 맞물린 결과라는 분석이 업계에서 나온다. 특히 K-배터리 재활용물이 이 과정에 포함된 정황이 드러나 국내 배터리 업계에도 논란이 예상된다. 다만, 아직 조사 중이라 구체적인 업체 이름은 나오지 않고 있다.
하노이시 경찰과 환경 당국은 앞으로도 관련 시설과 단속을 더 강화할 계획이다. 이번 사건은 환경오염 막기와 불법 폐기물 유통 차단의 중요성을 다시 일깨운 사례로 꼽힌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