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전기차 대출·QR결제 통했다...신한베트남파이낸스, 6년 만에 '디지털 강자'로

글로벌이코노믹

전기차 대출·QR결제 통했다...신한베트남파이낸스, 6년 만에 '디지털 강자'로

현지 전기차 업체와 손잡고 저금리 할부…친환경 정책 발맞춰 ESG 경영 강화
전용 앱에 전자지갑 40개 연동…'생활 동반자' 목표로 디지털 금융 영토 확장
신한베트남파이낸스가 베트남 진출 6년 만에 전기차 대출, QR 결제 등 현지 맞춤형 디지털·녹색 금융을 선보이며 베트남 소비 금융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사진=신한베트남파이낸스이미지 확대보기
신한베트남파이낸스가 베트남 진출 6년 만에 전기차 대출, QR 결제 등 현지 맞춤형 디지털·녹색 금융을 선보이며 베트남 소비 금융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사진=신한베트남파이낸스
신한베트남파이낸스(Shinhan Vietnam Finance)가 2019년 출범한 뒤 6년 만에 현지 소비 금융 시장의 강자로 자리매김했다고 베트남 현지 언론 타인호아 신문이 2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전국에 10개 지점과 26개 서비스 거점을 바탕으로 수백만 명의 고객을 확보했으며, 녹색 금융과 디지털 전환을 두 축으로 삼아 지속가능 금융 실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신한베트남파이낸스는 지난 6년간의 성과를 발판으로 베트남 시장에서 신뢰도 높은 금융 브랜드로 성장했다. 마스터카드, 모모, 잘로페이, VNPAY 등의 주요 결제 사업자는 물론 피아지오, 야마하, 타코, 포드 등 주요 제조사와 전략적으로 협력하며 시장 신뢰도를 높였다. 혁신 성과를 인정받아 여러 권위 있는 상을 받았고, 베트남 경쟁소비자보호국(VCCA)의 공식 협력사로서 소비자 권익 보호와 금융 포용성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 '녹색·디지털'로 현지 맞춤 금융 승부수


특히 디지털과 친환경 흐름에 맞춘 혁신 상품 출시가 성장을 이끌었다. 대표 상품인 '더 퍼스트(THE FIRST)' 국제 신용카드는 0% 무이자 할부, 현금 인출 수수료 면제, 무제한 포인트 적립 같은 혜택을 제공한다. 전용 앱 'iShinhan'으로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어 모모, 그랩 등 디지털 플랫폼에 익숙한 현지 고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녹색 금융 분야에서는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현지 전기 오토바이 업체 닷 바이크(Dat Bike), 전기차 제조사 빈패스트(VinFast)와 손잡고 전기차 전용 대출 상품을 운영하고 있다. 이 상품은 낮은 금리와 더불어 원본 서류를 보관할 필요가 없고, 30분 안에 심사가 끝나는 신속함이 특징이다. 할부 구매 고객에게는 수십만 동 상당의 전자 상품권도 제공해 친환경 소비문화 확산에 기여하며, 베트남 정부의 친환경 정책과 ESG 경영 흐름에 적극적으로 발맞추고 있다.

젊은 기술 애호가를 겨냥한 맞춤 대출도 마련했다. 지동비엣(Di Động Việt), 셀폰에스(CellphoneS) 등 현지 대형 전자제품 유통사와 협력해 최대 1억 동(약 519만 원) 한도의 소비자 금융 상품을 내놓았다. 최장 48개월까지 나눠 갚을 수 있고, 아이폰 등 최신 스마트폰을 살 때 0% 무이자 할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최근에는 자동차 할부 금융도 강화해 최대 10억 동(약 5190만 원)의 구매 대출을 출시했으며, 6주년을 기념해 오는 7월 31일까지 대출 고객에게 최대 200만 동(약 10만 3800원)의 전자 상품권을 주는 판촉 행사를 연다.

◇ '생활 동반자' 목표… 미래 금융 향한 도약


디지털 전환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iShinhan 앱에 40개가 넘는 은행과 전자지갑을 연동한 'VietQR' 간편 결제 시스템을 도입해, QR코드 스캔만으로 대출 원리금을 갚을 수 있게 했다. 또 구글페이, 잘로페이 QR 결제 시스템을 더해 비대면·모바일 중심 금융 서비스 혁신으로 고객 경험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는 평가다.

신한베트남파이낸스는 지난 6년간의 성과를 발판 삼아 새로운 도약을 준비한다. '금융은 사람을 위한 것'이라는 철학 아래 고객 중심의 녹색·디지털 금융 생태계를 구축해, 베트남 고객의 모든 순간을 함께하는 '생활 동반자'로 성장한다는 계획이다. 앞으로 베트남 시장에서 브랜드 신뢰도와 사회적 책임을 높이고 혁신을 이끌어 리더십을 강화할 방침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