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군 기관지, 휴머노이드 전투 로봇 '도덕적 함정' 경고

글로벌이코노믹

중국군 기관지, 휴머노이드 전투 로봇 '도덕적 함정' 경고

PLA 데일리 "무차별 살인·사고 우려"…윤리·법적 연구 촉구
아시모프 로봇 3법칙 인용하며 "인간 복종·존중·보호" 원칙 강조
중국군 기관지가 휴머노이드 전투로봇 사용과 관련된 잠재적인 윤리적 우려를 경고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중국군 기관지가 휴머노이드 전투로봇 사용과 관련된 잠재적인 윤리적 우려를 경고했다. 사진=로이터
중국군 기관지가 휴머노이드 전투 로봇 사용과 관련된 잠재적인 윤리적 우려를 경고했다. 이는 인민해방군(PLA)이 로봇 개발 경쟁에서 앞서 나가면서도 도덕적 기준을 제시한 것으로 해석된다고 10일(현지시각)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10일 인민해방군 데일리의 분석은 군대가 "도덕적 함정을 피하기 위해"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한 "윤리적, 법적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기사는 "군용 휴머노이드 로봇은 현재까지 가장 인간과 유사한 무기이며, 대규모로 정상화된 사용은 무차별 살인과 우발적인 죽음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필연적으로 법적 고발과 도덕적 비난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기사에는 위안이, 마예, 웨스광이 서명했지만, 신문은 그들의 소속을 명시하지 않았다.
저자들은 미국 공상과학 소설 작가 아이작 아시모프의 로봇공학 3법칙을 인용하며, 군사화된 휴머노이드 로봇은 로봇이 "인간을 다치게 하거나 무행동으로 인간이 해를 입도록 허용할 수 없다"는 첫 번째 법칙을 "명백히 위반"한다고 지적했다. 그들은 아시모프의 법률이 수정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자들은 군사 시나리오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은 "인간에 복종", "인간 존중", "인간 보호"라는 전쟁법의 주요 원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자에 따르면, 이러한 로봇은 "적시에 과도한 무력 사용을 중단하고 제한"할 수 있어야 하며 무차별적으로 사람을 죽이지 않아야 한다.

그들은 휴머노이드 로봇의 가장 큰 장점은 기계 팔과 "기계를 유연하게 사용하는 능력"이라고 분석했다. "능동적인 무인 시스템으로 대체할 수 없는 많은 군사 작업이 휴머노이드 로봇에 필요한 작업 목록에 포함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는 군대가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계획을 세우기 위해 군의 요구 사항을 "신중하게 연구하고 제안"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또한, 휴머노이드 로봇은 속도와 환경 적응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으며 다른 무인 장비에 비해 "기술적으로 구현하기가 더 비싸고 복잡하다"고 인정했다. "휴머노이드 로봇이 미래에 성숙하여 널리 사용되더라도 다른 무인 시스템을 완전히 대체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기사는 전장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의 사용에 대해 논의하기 위한 여러 PLA 데일리 기사 중 가장 최신이었다. 지난 5월 한 기사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전쟁의 미래에 대한 인류의 인식을 계속 변화시킬 수 있다"고 평가했다.

5월 기사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지능형 의사 결정과 자율 전투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전장 환경을 지능적으로 평가하고 "전투 임무를 자율적으로 완료"하는 능력을 칭찬했다.

휴머노이드 로봇은 인공지능, 첨단 제조 및 체화 지능의 교차점에 있으며, 이는 미국과의 치열한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중국의 노력에 중요한 영역이다.

몇몇 중국 기업들은 올해 다재다능한 로봇을 출시해 이 기술에 대한 자신감을 높였으며, 중국은 이 분야에서 초기 선두를 공고히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은 주로 물류 및 제조와 같은 산업 응용 분야에 사용되는 반면 다른 로봇은 연구, 교육 기관 및 서비스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다. 각국은 군용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지만, 대규모 배치는 여전히 요원한 전망이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