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항만 운영업체, 중국산 크레인 100% 관세 완화 요청

글로벌이코노믹

美 항만 운영업체, 중국산 크레인 100% 관세 완화 요청

트럼프 행정부 "중국산 화물 장비 사용 본질적 금지" 목표
ZPMC 미국 크레인 80% 점유…대당 1,000만-2,000만 달러 가격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항구에서 컨테이너 크레인 뒤로 해가 지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항구에서 컨테이너 크레인 뒤로 해가 지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 항만 운영업체들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가 중국산 항만 크레인에 부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과도한 관세를 완화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13일(현지시각)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올해 초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중국이 해상 제조업과 해상 상업 및 군사 우위를 장악하기 위해 시장 점유율을 집어삼키자 크레인에 최대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을 제안했다.

중국은 국영 상하이 전화 중공업(ZPMC)을 통해 현재 세계 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며 미국 내 선박-해안 크레인의 약 80%를 공급했다. ZPMC는 휴스턴, 로스앤젤레스, 뉴욕을 포함한 약 20개의 미국 항구에서 200대 이상의 크레인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크레인의 가격은 각각 1000만 달러에서 2000만 달러 사이다.

이러한 추세에 대응하는 것이 트럼프 행정부의 최우선 과제이며, 트럼프 행정부의 관리들은 회의에서 그러한 구매를 종식시킬 의도가 있다고 터미널 운영자 및 기타 단체를 대표하는 전미해안고용주협회(NAWE)의 회장 칼 벤첼이 밝혔다.
USTR이 이 문제에 대한 결정을 내릴 때 관세율이 100% 안팎으로 내려갈 것으로 예상하느냐는 질문에 벤첼은 "나는 그것이 바닥이라는 입장에서 활동해 왔다. 이는 본질적으로 중국산 화물 장비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코네크레인스를 포함한 미국 동맹국과 연계된 제조업체로부터 더 높은 가격의 크레인을 구매하도록 항구에 압력을 가한 첫 번째 미국 대통령은 아니다. 핀란드의 코네크레인스, 일본의 미쓰이 E&S, 스위스에 본사를 둔 리브헤르 등이 대안으로 거론된다.

조 바이든은 사이버 보안 및 인프라 보안국, 연방 수사국 및 국가 안보국이 중국이 항만 장비를 포함한 미국 중요 인프라의 사이버 취약성을 미리 배치하려고 한다고 공개적으로 밝힌 후 2024년 중국의 선박 대 해안 크레인에 25%의 관세를 부과했다.

미국 관리들은 또한 모뎀, 소프트웨어 및 기타 장비가 군사 작전을 염탐하기 위한 백도어가 되거나 항구 작전을 방해하기 위한 킬 스위치로 사용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만과 터미널 운영자들은 계속해서 저렴한 중국산 크레인을 구매했다.

바이든 행정부에서 국가안보회의(NSC)의 중요 인프라 국장을 지낸 외교관계위원회 연구원 윌리엄 헤너건은 "항만 운영자 커뮤니티의 무대응과 저항은 단기적인 비용 절감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무대응의 궁극적인 비용을 크게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ZPMC의 미국 항만 운영자 및 대리인은 지난 5월 USTR에 보낸 서한에서 크레인과 관련된 보안 우려는 위험과 비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반대자들은 또한 관세가 업계에 수십억 달러의 예상치 못한 비용을 발생시켜 미국 항구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개선을 질식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번 관세 논란은 중국의 항만 장비 의존도를 줄이려는 미국의 안보 정책과 비용 효율성을 추구하는 항만 운영업체 간의 갈등을 보여준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의 영향력 확산을 견제하기 위해 강력한 조치를 하고 있지만, 항만 업계는 대안 장비의 높은 비용과 공급 부족을 우려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100% 관세가 부과될 경우 실질적으로 중국산 크레인 구매가 불가능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미국 항만들의 운영비 상승과 경쟁력 약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ZPMC가 미국 크레인 시장의 80%를 점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체 공급업체들의 생산 능력과 납기 문제도 심각한 고민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