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선전·쑤저우 등 경고 발령…200만 명 회원 플랫폼 130억 위안 처리 후 붕괴
홍콩 8월 스테이블코인 규제 시행 vs 본토 가상화폐 단속 유지
홍콩 8월 스테이블코인 규제 시행 vs 본토 가상화폐 단속 유지

여러 지방 정부는 최근 몇 주 동안 스테이블코인을 최우선 과제로 끌어올리는 한편 투자자들에게 불법 자금 조달 및 사기 계획에 대한 긴급 경고를 발표했다.
베이징, 선전, 쑤저우, 충칭과 같은 주요 본토 도시에서는 지난주 경보가 발령됐다. 그들은 종종 높은 수익률과 보장된 이자 지급을 약속하며 투자자를 유혹하는 불법 금융 활동이 공공 금융 보안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한다고 경고했다.
테더라고도 알려진 선도적인 스테이블 코인인 "USDT"와 같은 유행어와 용어를 사용하여 높은 수익을 홍보하는 주요 투자 사기가 본토 전역에서 널리 보고됨에 따라 주의의 말이 나왔다. 200만 명 이상의 투자자를 사취한 것으로 알려진 이 사기 수법은 2018년에서 2020년 사이 중국의 P2P 대출 플랫폼이 광범위하게 붕괴된 기억을 불러일으켰다.
베이징에 본사를 둔 한 통화 전문가는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것은 반쯤 지식이 있는 사람들의 집단이 나쁜 의도를 가진 사람들에게 속고 있다는 것"이라고 스테이블코인을 둘러싼 혼란스러운 광란을 지적하며 말했다.
스테이블코인이 베이징의 학문적 논의에서 유행어가 되었지만, 중앙은행 당국은 가상 화폐에 대한 단속을 유지하면서 중앙은행의 디지털 화폐인 e-CNY(위안화의 디지털 형태)를 개발하는 데 계속 집중하고 있다.
지방 정부의 일련의 경고가 주목을 받으면서 베이징 인터넷 금융 협회는 지난 9일 사기꾼들이 종종 "정보 비대칭을 만들고 투자자를 오도하기 위해 복잡하고 새로운 개념을 포장하고 과장한다"고 밝혔다.
이틀 후 쑤저우시 정부의 경고는 가상 화폐 거래에 참여하는 것의 법적 위험을 강조했고, 불법 행위 신고에 대한 보상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한편 중국 본토에서 비교적 신중한 접근이 취해지고 있는 가운데, 홍콩은 8월 1일부터 시행될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규제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가능하게 하고 암호화폐 혁신의 선두 주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됐다.
홍콩과 달리 중국 본토의 핀테크 생태계는 송금 수수료가 거의 없고 시간 비용이 저렴하여 소비자와 기업 모두에게 매우 편리하여 스테이블코인의 필요성을 줄여준다고 이 전문가는 분석했다.
지난주 베이징 비즈니스 투데이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은 지난달 200만 명 이상의 회원을 자랑하고, 130억 위안(18억 달러)의 자금을 처리하며, 최대 1%의 일일 수익률을 약속하던 디지털 자산 관리 플랫폼이 붕괴된 후 최근 몇 주 동안 주목과 감시가 강화됐다.
투자자들이 인출 불가능한 자금에 대한 우려를 제기한 후 플랫폼 설립자는 회원 채팅 그룹에서 자신이 해외로 도망쳤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스캔들에도 불구하고 중국 관리와 학자들은 특히 미국과 같은 주요 경제국에서 스테이블코인 수용이 증가함에 따라 세계 무역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스테이블코인 개발에 긴밀히 관여하고 있다.
지난주 상하이 국유 자산 감독 및 관리 위원회는 암호화폐 및 스테이블코인 동향에 대한 연구 세션을 개최했다. 공식 발표에 따르면, 당서기인 허칭은 "신흥 기술에 계속 귀를 기울이고 디지털 통화에 대한 연구를 심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베이징대학교 국립개발대학원 학장이자 중국 중앙은행 정책위원회 위원인 황이핑은 디지털 자산과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참여를 옹호하면서 중국은 혁신을 놓쳐서는 안 되며 홍콩을 시험장으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