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석탄 시대 끝, K-그린 동맹...한·호주 청정에너지 금융 50억 호주달러 확대

글로벌이코노믹

석탄 시대 끝, K-그린 동맹...한·호주 청정에너지 금융 50억 호주달러 확대

핵심광물·그린수소·해상풍력 4대 분야 통합...이재명 정부 18개월이 골든타임
이재명 대통령이 2040년 석탄 완전 퇴출을 선언하면서 한국과 호주가 새로운 녹색 에너지 동맹을 맺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사진=마이크로소프트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이재명 대통령이 2040년 석탄 완전 퇴출을 선언하면서 한국과 호주가 새로운 녹색 에너지 동맹을 맺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사진=마이크로소프트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
이재명 대통령이 2040년 석탄 완전 퇴출을 선언하면서 한국과 호주가 새로운 녹색 에너지 동맹을 맺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호주 청정에너지 전문매체 리뉴이코노미는 지난 15(현지시각) "반세기 동안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로 이어진 양국 관계를 핵심 광물, 녹색 수소, 해상 풍력, 송전망 기술 중심의 청정에너지 동맹으로 바꿔야 한다"고 보도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6월 취임하면서 재생에너지 전환을 빠르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2030년까지 재생 가능한 전기 비중을 30%까지 높이고 2040년까지 석탄 화력을 모두 없애겠다고 했다. 이 때문에 1970년대부터 필바라 광물과 서호주 가스로 이어온 기존 '자원 동반자' 관계를 바꿔야 할 처지가 됐다.

◇ 핵심 광물·녹색 수소 중심으로 협력 확대


양국이 새롭게 협력할 모델의 핵심은 4개 분야를 통합하는 것이다. 먼저 핵심 광물 분야에서는 서호주의 리튬, 니켈, 희토류 매장지를 활용한 배터리 공급망을 만들고 있다. 광양 수산화리튬 정제소 건설이 80% 끝나 오는 11월부터 가동될 예정이다.

녹색 수소 분야에서는 산업용 원료 공급에 집중하고 있다. 수소 승용차 시장이 위축되면서 배터리 전기차가 판매를 주도하고 있지만, 제철·화학·비료 산업에서는 저탄소 공급 원료 수요가 절실한 상황이다.

철강업체 포스코는 이미 필바라에서 엔지(ENGIE)와 함께 45메가와트(MW) 규모 수소 직접환원철 시범 사업을 하고 있으며, 2035년까지 생산량을 크게 늘릴 계획이다. 한국은 해마다 상당량의 암모니아를 비료와 화학 물질용으로 수입하고 있어, 회색 암모니아에서 녹색 암모니아로 바꾸면 해마다 500t의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다고 이 매체는 분석했다.

해상 풍력과 송전망 기술 분야에서도 서로 보완하는 협력이 가능하다. 호주 남동부 해안은 25기가와트(GW) 해상 풍력 임대를 진행하고 있지만 대형 선박과 부유식 기초, 고압직류송전(HVDC) 경험이 부족하다. 한화와 CS윈드를 포함한 한국 조선소와 설계·조달·건설(EPC) 업체들이 빅토리아와 뉴사우스웨일스 사업 마지막 후보에 올라 있다.

2030년까지 60억 달러 투자 전망


금융 지원도 늘어난다. 지난해 맺은 녹색경제동반자협정과 함께 20억 호주달러(18000억 원) 규모의 수출금융청(EFA)-한국수출입은행 공동 금융 창구가 생겼다. 금융권에서는 이 한도를 50억 호주달러(45000억 원)로 늘려 녹색 철, 녹색 암모니아, 핵심 광물 정제에 써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인력 양성도 추진한다. 부산-뉴캐슬 녹색 기술 캠퍼스는 수소 제철, 암모니아 분해, 배터리 재활용을 가르치며 2027년까지 100명의 기술자를 배출할 예정이다.

주요 일정도 정해졌다. 올해는 수소와 광물 인증 양해각서(MOU)를 맺고 EFA-K-EXIM 창구에 20억 호주달러를 추가로 투입한다. 내년에는 필바라 녹색 철 사업 최종 투자를 결정하고 녹색 기술 캠퍼스 첫 과정을 시작한다.

리뉴이코노미는 이 계획이 제대로 진행되면 양국 청정에너지 투자가 2030년까지 60억 호주달러(54000억 원)를 넘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한국이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2018년보다 61% 줄이는 것으로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매체는 "이 대통령 정부 첫 18개월이 기준을 맞추고, 자금을 늘리고, 인력 기술을 높일 수 있는 황금 기회"라며 "이 순간을 잡으면 2030년대 초반까지 양국이 태평양에서 가장 튼튼한 청정에너지 공동체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