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8월 1일 '상호 관세' 발효 예고…자동차·배터리 등 주력산업 '초비상'
정부, 고위급 총동원 대응…협상 결렬 시 WTO 제소 등 '전면전' 불사
정부, 고위급 총동원 대응…협상 결렬 시 WTO 제소 등 '전면전' 불사

김정관 신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1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을 통해 밝힌 한미 관세 협상의 현주소다. 미국의 '상호 관세' 발효 시한인 8월 1일을 불과 열하루 앞둔 시점으로,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자동차·배터리·철강 등 국내 주력 산업의 타격은 불가피하다.
이에 김 장관은 "협상을 원만하게 마무리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히며 정부의 총력 대응을 예고했다. 정부는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을 미국에 급파한 데 이어, 김 장관을 포함한 다른 부처 장관들의 방미 가능성까지 열어두고 막판 담판에 들어갔다.
정부 고위급 인사들의 움직임도 긴박하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이미 지난 20일 협상을 위해 워싱턴으로 떠났다. 위 실장은 출국에 앞서 기자들에게 "목표는 관세율을 낮추는 것"이라고 분명히 밝혔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김정관 장관을 포함한 다른 부처 장관들 역시 이번 주 미국을 방문해 미국 측 책임자와 직접 담판을 벌일 가능성이 있다.
◇ 공급망 재편 속 커지는 이해충돌
이번 협상은 미국 정부가 자국 제조업 부활을 위해 추진하는 '무역 재조정(리쇼어링)' 정책의 하나여서 더욱 해법을 찾기 어렵다. 본래 한국 정부는 미국과의 무역 마찰을 피해왔으나, 최근 반도체·전기차 등 국제 공급망이 재편되는 과정에서 양국 이해충돌이 커지고 있다. 여기에 일자리와 산업 경쟁력 보전을 요구하는 국내 대기업과 노동계의 압력도 정부로서는 무시할 수 없는 변수다.
◇ 협상 실패 땐 '전면전'…동맹 신뢰도 시험대
앞으로 남은 열흘 남짓 동안 펼쳐질 양국의 고위급 외교 결과에 따라 한국 경제의 불확실성이 결정될 전망이다. 협상이 타결되면 관세 시행이 미뤄지거나 일부 품목이 완화되는 최선의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한다면 예고된 관세 부과는 물론 한국의 보복 조치와 세계무역기구(WTO) 제소로 이어져 양국 통상 마찰이 전면전으로 번질 수 있다. 이번 협상 결과가 단순한 경제 문제를 넘어 한·미 동맹의 정치·외교 신뢰 관계까지 시험대에 올렸다는 분석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