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과 중국이 양국 간 추가 관세 유예 시한을 앞두고 다시 협상 테이블에 앉은 가운데 금융시장은 양측이 ‘90일간 추가 유예 조치’에 합의할지를 최대 관심사로 주목하고 있다.
29일(이하 현지시각) 야후파이낸스에 따르면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과 허리펑 중국 국무원 부총리가 각각 이끄는 미국과 중국 무역대표단은 전날 스웨덴 스톡홀름에 있는 ‘로센바드’ 정부청사에서 협상을 재개했다. 이번 회담은 제네바와 런던에 이어 세 번째 협상이다.
◇ 시장은 ‘관세 유예 연장’에 집중
양국은 다음달 12일까지 추가 관세 발동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입장인데 시장은 단기적 관세 충돌을 피하기 위한 ‘90일 연장’ 조치가 재차 이뤄질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고 야후파이낸스는 전했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도 같은 날 NBC방송에 출연해 “현재로서는 연장 여부를 단언할 수 없다”면서도 “대화는 건설적이며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말했다.
◇ 반도체·희토류·러시아 원유 등 민감한 현안 거론
이번 협상에서는 관세 문제 외에도 반도체와 희토류 수출 규제, 펜타닐 확산 문제, 중국의 러시아·이란산 원유 수입 등이 의제로 오를 전망이다.
특히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칩에 대한 수출 규제가 일부 완화된 데 이어 미국이 중국과 희토류 공급망에서 긴장을 완화할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가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에 대해 기존 50일 기한을 단축해 향후 10~12일 이내에 ‘전쟁 종결’ 협상 또는 경제적 보복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했다. 그는 “푸틴 대통령이 진전을 보이지 않고 있다”며 “더는 기다릴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이같은 압박은 중국에도 간접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차원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중국이 러시아산 원유의 주요 수입국이라는 점에서 양국 간 에너지 문제도 협상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
◇ ‘EU 모델은 중국에 통하지 않는다’는 시각도
한편, 최근 미국이 유럽연합 및 일본과 각각 체결한 15% 관세 협정을 중국과의 협상 모델로 삼는 데는 회의적인 시각도 제기된다. 조 바이든 전 행정부 시절부터 미·중 간 갈등을 관찰해온 조이 류 미국 외교협회(CFR) 선임연구원은 “중국은 보복 수단을 분명히 갖고 있으며 자신들이 어디를 가격해야 효과적인지를 잘 알고 있다”고 분석했다.
테리 헤인스 팡개아정책연구소 창립자도 “EU·일본과 협상에서 외국인 투자 유치가 핵심 중 하나였지만 미국은 중국 자본을 SNS부터 부동산까지 여러 분야에서 배제하고 있다”며 중국과는 성격이 전혀 다르다고 지적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