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미국 투자' 전제 관세 면제…자국 우선주의 강화
美, 반도체 상징 '인텔' 살리기 총력…삼성과 이해관계 맞아떨어져
美, 반도체 상징 '인텔' 살리기 총력…삼성과 이해관계 맞아떨어져

◇ 美, 투자-관세 연계…바이든과 다른 '거래의 기술'
트럼프 행정부는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미국 내 제조업을 강화하는 정책의 하나로 반도체 관세 도입을 예고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해외 기업들에 미국 직접 투자를 꾸준히 압박해왔으며, 이를 따르지 않는 기업에는 높은 관세를 매길 것임을 분명히 했다. 미국 안에 연구 또는 제조 시설을 직접 두는 기업은 관세 면제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는 과거 바이든 행정부가 반도체 기업의 미국 내 설비 건설에 보조금을 주던 방식과는 결이 다른 직접 투자 요구다. 나아가 트럼프 행정부는 '반도체 지원법(CHIPS Act)'의 지원금 지급 조건으로, 미국 정부에 실제 기업 지분(주식)을 넘겨야 한다는 정책으로 바꾸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삼성의 인텔 투자 카드가 떠올랐다. 새미팬즈 등 해외 매체들은 삼성이 인텔 투자 계획 내부 검토를 사실상 마무리했으며, 지정학적 위험과 관세 문제를 고려해 현재 인텔을 최우선 협력 상대로 생각한다고 보도했다. 삼성의 이번 투자 검토는 미국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에 힘을 보태고, 트럼프 행정부와 협력해 관세 감면 혜택을 확보하려는 두 가지 핵심 목표를 담고 있다.
인텔은 단순한 기업을 넘어 미국 반도체 산업의 자존심으로 통한다. 하지만 최근 인공지능(AI)·첨단칩 시장 경쟁에서 뒤처지며 심각한 재정 위기를 겪자,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반도체 산업 보호와 기술 자주권 확보를 위해 인텔 재건을 중요한 과제로 삼은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인텔은 109억 달러 지원금을 받는 대가로 미국 정부에 최대 10% 지분을 주는 안을 논의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따라서 삼성의 이번 투자가 성사되면, 삼성은 관세 인하 또는 면제라는 실리를 챙기는 동시에 트럼프 행정부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 미국은 자국 대표 반도체 기업의 경쟁력을 키우고,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공약인 '미국 내 생산 확대'를 이루는 성과를 거둔다. 결국 '누가 미국에 더 많이 투자하는가'가 세계 반도체 산업의 판도를 흔드는 핵심 변수로 떠오른 셈이다. 삼성의 전략적 선택이 양국 모두에 '상생(相生)'이 될 수 있을지 업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