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日 매체 “韓, 美와의 정상회담서 안도...실질적 진전은 없어”

글로벌이코노믹

日 매체 “韓, 美와의 정상회담서 안도...실질적 진전은 없어”

산케이 “이 대통령 트럼프 계속 칭찬”
트럼프와 대화 전하면서 관세 협상 등 실질적 효과 없다 지적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 시각)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 시각)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일본 매체들이 한미 정상회담 소식을 전하면서 양국 정상간의 만남에서 당장 실질적인 진전은 없다고 지적했다.

일본이 미국과 합의한 새로운 관세에 대한 실무진 접촉을 진행하고 있어 이를 의식한 ‘견제구’일 가능성도 거론된다.

일본 산케이신문, 닛케이 등은 미국서 25일(현지시각) 열린 한미 정상회담 소식을 전하면서 “한국 언론은 이재명 대통령이 과거 여러 정상들이 트럼프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받은 (백악관을 방문한 손님을 직접 비판하는) '매복 공격'을 피했다고 평가하는 등 안도의 목소리를 냈다”고 전했다.

일본 외신들은 한미 정상회담 직전 미국 측이 이재명 한국 정권에 대한 불신을 시사하는 움직임이 나오면서 한국 측이 긴장된 분위기에 휩싸였지만, 이 대통령은 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역량을 반복적으로 칭찬하면서 분위기를 누그러뜨렸다고 소개했다.

이어서 “실질적인 진전이 없는 협상 속에서도 대립의 표면화를 피했다”고 보도했다.

산케이는 “이재명 한국 대통령은 세계 평화에 트럼프 대통령처럼 관심을 가지고 실제로 성과를 낸 지도자는 처음이라면서 호평을 했다”라며 “그는 회담 초반 트럼프에게 직접 세계를 이끄는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극찬했으며, 다소 굳은 표정이었던 트럼프도 점차 만족스러운 표정을 지으며 한국에 대해 따뜻한 감정을 가지고 있다고 응답했다”라고 전했다.

일본 외신은 한미 정상회담 초반 상황을 자세히 보도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을 마친 뒤 곧바로 미국으로 향했는데, 앞서 실무 협상을 위해 파견된 조현 외교부 장관이 이례적으로 일본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미국에 갔다는 상황을 상세하게 전했다.

또 “미국 측은 트럼프 관세를 인하하는 대가로 한국이 3500억 달러를 투자한다는 합의 문서를 요구하며 협상이 난항을 겪었다. 미국 측은 일시적으로 정상회담 취소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한국 측이 양보해야 한다고 압박했다”라고 보도했다.

이런 와중에 회담 약 2시간 반 전 트럼프가 자신의 SNS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숙청인가 혁명인가”, “(한국에서는) 비즈니스도 할 수 없다”라고 올리면서 한미 정상회담이 실패에 가까운 결과를 거둘 가능성이 있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미국 측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이재명 대통령이 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칭찬을 계속했다고 상세히 전했다. 특히 북한 문제와 관련해 2021년 트럼프 대통령의 퇴임 후 북한의 미사일이 많이 개발되고 핵폭탄도 늘었다고 강조하면서 “정권을 유지했다면 북한 문제가 악화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언급하며 트럼프를 누그러지게 만들었다고 기술했다.

이 과정에서 산케이는 “AP통신은 트럼프의 태도가 이 대통령의 아첨을 받아 따뜻한 환영으로 바뀌어갔다고 보도했다”라고 전하면서 한국 대통령의 발언을 상대 정상에 대한 칭찬이 아닌 아첨에 가까웠다는 인식을 드러내기도 했다.

또 닛케이는 “한국 측이 회담의 주요 의제로 설정했던 통상 합의의 안정화나 대만 사태 대응을 염두에 둔 한미 동맹의 현대화에 관한 합의 발표는 없었다”라며 “강유정 대변인은 합의문 작성의 필요성이 없을 정도로 좋은 분위기에서 협의가 진행됐다고 밝혔지만, 강조할 만한 협상 진전이 없었다는 것은 확실해 보인다”라고 보도했다.

산케이 토키요시 타츠야 특파원은 “약 140분의 일정을 마치고 회장을 떠나는 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의 배웅을 받지 못한 것도 한미 간 관계의 현 상황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