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의 대표 산업인 정보기술(IT) 업계가 미국의 아웃소싱 세금 논의로 긴장하고 있다.
미국 기업들이 해외 IT 서비스 이용에 25%의 세금을 물리자는 법안이 발의되면서 계약 지연, 재협상 등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13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공화당 소속 버니 모레노 상원의원은 최근 ‘고용 촉진법’을 발의했다. 이 법안은 미국 기업이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할 경우 미국인 채용보다 불리하게 세금을 부과하고 해외 아웃소싱 비용을 세금 공제 항목에서 제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법안이 시행될 경우 해외 IT 서비스에 의존하는 미국 기업들의 부담은 크게 늘어날 전망이라고 로이터는 전했다.
인도 IT 업계는 지난 30여 년간 소프트웨어 수출로 성장하며 애플, 아메리칸익스프레스, 씨스코, 씨티그룹, 페덱스, 홈디포 등 글로벌 기업을 고객으로 두고 있다. 현재 인도 IT 산업 규모는 2830억달러(약 386조원)로 국내총생산(GDP)의 7% 이상을 차지한다.
그러나 미국 시장에서 이미 경기 둔화와 물가 압력으로 신규 IT 지출이 줄고 있어 이번 법안은 인도 업계에 큰 타격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EY 인디아의 지그네시 타카르 준법감시 책임자는 “법안이 시행되면 연방·주·지방세를 합쳐 아웃소싱 비용의 세금 부담이 최대 60%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 아룬 프라부 시릴 아마찬드 만갈다스 파트너는 “겉으로는 미국 내 일자리를 늘리는 듯 보이지만 결국 글로벌 경쟁력과 수익성을 떨어뜨리는 인위적 비용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업계는 강력한 로비와 함께 법안이 통과되면 소송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소피 알콘 이민법 전문 변호사는 “아웃소싱에 크게 의존하는 미국 기업들이 법안의 여러 조항에 대해 법적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HFS리서치의 필 퍼스트 최고경영자(CEO) 역시 “실제로 시행된다면 대폭 완화되거나 시행이 지연된 형태로 바뀔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특히 이번 조치가 미국 기업의 글로벌 역량센터(GCC) 운영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GCC는 단순한 저비용 사무지원 조직에서 연구개발·재무·혁신 거점으로 진화해왔다. 유갈 조시 에버레스트그룹 파트너는 “기존 운영은 쉽게 철수하기 어렵지만 신규 설립과 확장은 위축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미국 내 인력 부족 문제로 인해 아웃소싱 수요가 완전히 사라지기는 어렵다고 본다. 바라트 레디 CAM 파트너는 “미국 내에서 적합한 인재를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다는 구조적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며 당분간은 아웃소싱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