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루비오 美 국무 “커크 암살 찬양한 외국인, 비자 취소·발급 거부”

글로벌이코노믹

루비오 美 국무 “커크 암살 찬양한 외국인, 비자 취소·발급 거부”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 사진=로이터

보수 성향 인사 찰리 커크의 암살을 미화하거나 찬양한 외국인들에 대해 비자를 취소하거나 신규 발급을 거부하겠다는 방침을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이 밝혔다고 인도 경제매체 라이브민트가 15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라이브민트에 따르면 루비오 장관은 지난 11일(현지시각) 폭스뉴스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정치인의 암살을 축하하거나 정당화하는 사람들에게 미국 비자를 줄 이유가 없다”며 “이미 입국한 경우에도 비자를 취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사회에 파괴적 행위를 하려는 사람들을 왜 받아들여야 하느냐”고 반문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는 지난주 크리스 랜도 미 국무부 부장관이 소셜미디어에 올린 성명과 맥락을 같이한다는 지적이다. 랜도 부장관은 “외국인들이 폭력과 증오를 미화한다면 우리나라의 환영받는 방문객이 될 수 없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 들어 미 국무부는 비자 심사 과정에서 지원자의 소셜미디어 계정을 공개하도록 요구하고 반미적·반유대적 게시물을 점검하는 등 검증 절차를 확대해 왔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온라인 활동 전반을 추적하는 방안까지 도입했다. 루비오 장관은 올해 초 하마스를 지지하는 외국인도 비자 취소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최근 미 국무부 내부 지침에 따르면 영사관 직원들은 학생·교환비자 신청자를 포함해 지원자의 정치적 성향과 과거 온라인 활동을 폭넓게 검토하도록 돼 있다고 라이브민트는 전했다. 일부 문건에서는 “온라인 활동이 제한적일 경우 오히려 문제 게시물을 숨기려는 신호일 수 있다”는 내용까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민단체들은 이러한 심사 확대가 표현의 자유를 위축시키고 적법 절차를 침해할 수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 정부는 “비자는 외국인에게 주어지는 권리가 아닌 특권”이라며 안보를 위해 필요한 조치라고 맞서고 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