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룩 롤린스 미국 농무부 장관은 최근 수출 부진과 생산비 급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미국 농민들을 위해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수입을 활용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8일(현지시각) 보도했다.
◇ 관세수입 활용해 지원책 추진
롤린스 장관은 전날 FT와 가진 인터뷰에서 “곧 발표될 수 있는 지원 패키지를 매우 진지하게 검토하고 있다”며 “현재 미국으로 들어오고 있는 관세 수입을 재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절대적으로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매일 시장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며 신속한 조치 가능성을 시사했다.
◇ 대두 농가 직격탄
롤린스 장관의 이같은 발언은 중국이 미국산 신작 대두 구매를 줄이고,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로 비료·농기계 등 수입 비용이 상승하면서 농가의 부담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나왔다고 FT는 전했다.
미국 대두 농가는 수확기에 접어들었지만 최대 수출국인 중국이 브라질산으로 눈을 돌리면서 타격을 입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공격적 관세 정책에 맞서 중국은 미국산 대두에 최대 34% 보복관세를 부과했다. 미국대두협회(ASA)는 “중국이 세계 최대 돼지 사육을 뒷받침하기 위해 미국 대신 브라질에서 대두를 조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 바이든 행정부 탓 돌려
롤린스 장관은 “지난 행정부(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 농업 분야는 무역 흑자에서 올해 500억 달러(약 68조2500억 원) 적자로 전락했다”며 “이는 새로운 무역협정을 체결하지 않은 결과”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19세기 알렉산더 해밀턴 이후 본격적으로 ‘무역하는 미국’을 다시 세우고 있다”고 강조했다.
◇ 과거 사례 참고
트럼프 행정부는 2019년 미·중 무역전쟁 당시 230억 달러(약 31조3950억 원) 규모의 농가 지원 패키지를 시행한 바 있다. 롤린스 장관은 이번에도 당시 경험을 토대로 “무엇이 잘됐고 무엇이 잘못됐는지 참고해 새로운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협상은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이 주도하고 있다. 그는 헤지펀드 매니저 출신이자 실제로 노스다코타주에서 대두와 옥수수를 재배하는 농가 소유주로 농민에 대한 이해가 깊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