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만 정부가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확대에도 자국 반도체 산업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12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대만 경제부는 이날 낸 성명에서 “중국이 새로 규제에 포함한 희토류 원소들은 대만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는 품목과 다르기 때문에 현시점에서 반도체 제조에는 유의미한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중국은 지난 9일 희토류 수출 통제를 대폭 확대하며 다섯 가지 새로운 원소를 규제 대상에 추가했다. 반도체 기업을 중심으로 수출 관련 심사를 강화하면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 정상회담을 앞두고 산업 통제를 강화하는 조치로 풀이된다.
대만 경제부는 또 “국내 산업이 필요로 하는 희토류 관련 제품이나 파생품은 주로 유럽, 미국, 일본에서 조달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대만은 세계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인 TSMC의 본거지로 인공지능(AI) 응용 분야의 핵심인 첨단 반도체 대부분을 생산하고 있다.
다만 경제부는 중국의 이번 조치가 전기차나 드론 등 희토류를 사용하는 글로벌 공급망에는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향후 상황을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중국 정부는 같은 날 희토류 및 관련 장비 수출 제한 조치를 정당화하며 “이들 금속의 군사적 활용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최근 군사적 충돌이 빈번한 상황에서 필요한 조치”라고 주장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