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리플 XRP 곧 40% 추가 폭락... 암호화폐 BTC 뉴스

글로벌이코노믹

리플 XRP 곧 40% 추가 폭락... 암호화폐 BTC 뉴스

"뉴욕증시 레버리지 청산 2차 충격" 리플 XRP 7000만개 "의문의 지갑 이동" 뉴욕증시 암호화폐 "대규모 매도 폭탄"
리플 갈링하우스 CEO/사진=리플 랩스 이미지 확대보기
리플 갈링하우스 CEO/사진=리플 랩스
리플 XRP 40% 추가 폭락... 암호화폐 BTC 뉴스 "뉴욕증시 레버리지 청산 2차 충격"

리플 XRP 가 40% 추가 폭락할 것이라고 암호화폐 BTC 뉴스가 보도했다. 뉴욕증시 레버리지 청산 2차 충격이 리플을 흔드는 모양새다. 리플 XRP 7000만개 "의문의 지갑 이동" 소식도 뉴욕증시 암호화폐 "대규모 매도 폭탄" 공포르 낳고 있다.

암호화폐 전문 매체 뉴스BTC에 따르면, 지난 주말 기록적인 시장 청산으로 약 190억 달러 규모의 포지션이 단 몇 시간 만에 정리됐다. 이 과정에서 XRP는 1.6달러 아래까지 급락한 뒤 2.2달러 위로 반등했으며, 이 긴 하락 꼬리는 과도한 레버리지 포지션이 제거되는 과정의 핵심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엑스알피(XRP)가 역사상 최대 규모의 청산 이후 회복세를 시도하고 있지만, 강한 상승세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 기술적 분석에서는 본격적인 반등에 앞서 최대 40%의 급락 가능성이 경고되고 있다.

청산 당시 나타난 하락 꼬리는 약세 세력의 손절 구간이 초기로 소화됐다는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그러나 남은 약세 물량이 완전히 정리되기 전까지 추가 조정 가능성은 열려 있는 상황이다. 시장이 충분한 거래량과 지지력을 확보해야만 본격적인 상승 전환이 가능하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타임스 타블로이드(Times Tabloid)에 따르면 리플(Ripple)이 약 10억 달러 규모의 자금을 조성해 XRP(엑스알피)를 직접 매입할 계획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공식 발표는 없지만, 블룸버그 보도를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리플이 자사 보유 에스크로 물량을 활용하지 않고 신규 자금을 동원하려는 의도에 대해 시장의 해석이 엇갈리고 있다.
이 보도에 따르면 리플의 이러한 움직임은 최근 글로벌 기업들 사이에서 확산 중인 ‘XRP 트레저리(기업 자산 보유)’ 트렌드와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실제로 비보파워(VivoPower)는 이달 초 약 19백만 달러를 조달해 자사 XRP 보유량을 확대했다. 에브리씽 블록체인(Everything Blockchain)과 트라이던트 디지털(Trident Digital) 또한 자체 보유 프로그램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흐름 속에서 리플이 트레저리 프로그램에 참여할 경우, XRP의 기관 신뢰도를 높이고 장기적 유동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는 평가가 뒤따랐다.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리플이 이미 약 350억 개에 달하는 에스크로 XRP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이 물량을 활용하지 않으려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다. 이에 대해 커뮤니티 분석가 니츠벅스(Nietzbux)는 “리플의 에스크로 물량 중 일부가 이미 기관 계약에 따라 사전에 배분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리플이 과거 기관 대상 판매 계약을 통해 에스크로 물량 일부를 미리 배정했을 수 있다. 그로 인해 당장 활용 가능한 XRP가 제한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블룸버그는 리플이 일부 에스크로 토큰을 여전히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접근 권한이 제한돼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구조적 제약이 신규 자금 조달 계획의 배경이 됐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리플의 자산 운용 전략이 단순한 ‘보유’ 차원을 넘어 ‘트레저리 제도화’로 전환되는 신호일 수 있다고 진단한다. 지난해부터 커뮤니티 내에서는 리플이 언제 공식적으로 XRP 트레저리를 구축할지에 대한 논의가 이어져 왔다. 지난 7월 비트와이즈(Bitwise)의 헌터 호슬리(Hunter Horsley) 최고경영자가 “리플은 향후 1년 내 XRP 트레저리 기업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한 이후, 기대감이 확산됐다.

시장 일부에서는 리플의 자금 조달 결정이 XRP의 내재가치보다는 투자심리에 기댄 일시적 기대감에 불과하다는 우려도 나온다. 실제 가격 변동은 투자자의 심리적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내재가치 부재 자산에 대한 과도한 기대는 급격한 조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 글로벌 블록체인 인프라 기업 리플(Ripple)은 글로벌 자금관리 시스템(TMS) 공급 기업 지트레저리(GTreasury)를 10억달러(약 1조4200억원)에 인수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인수는 프라임 브로커리지 히든로드,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레일에 이어 리플이 올해 단행한 세 번째 인수다.

리플이 XRP 7000만개를 의문의 지갑으로 이동이 뒤는제 밝혀지면서 뉴욕증시에서는 암호화폐 "대규모 매도 폭탄"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같은 매도 폭탄 우려로 리플은 물론 비트코인 이더리움 솔라나 도지코인 카르다노 등이 요동치고 있다.따르면 리플(Ripple)이 7000만 XRP를 자체적으로 통제하는 하위 지갑으로 이체한 사실이 포착됐다. 이 대규모 자금 이동은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결정 발표를 앞둔 시점에 이루어졌다. 향후 XRP 가격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체된 7000만 XRP는 주문형 유동성(ODL, On-Demand Liquidity) 라우팅과 연결된 리플 통제 하의 지갑으로 이동했다. 리플이 내부 결제 또는 국제 송금 회랑에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한 '프로비저닝' 목적일 가능성이 있다.

<이 글은 언론 보도와 취재 등을 통해 취합한 정보를 토대로 작성한 기사로 투자 안내용 가이드가 아닙니다. 투자 손실에 책임지지 않습니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