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리플 수상한 초대형 XRP 이동... 암호화폐 "전략준비금 비축 이상기류 "

글로벌이코노믹

리플 수상한 초대형 XRP 이동... 암호화폐 "전략준비금 비축 이상기류 "

라센 창립자 XRP 재무부 프로젝트 내부 자금 재배치 리플 창립자 라센의 초대형 XRP 이체…투자심리 '출렁'
리플 길링하우스/ 사진=리플랩스  이미지 확대보기
리플 길링하우스/ 사진=리플랩스
리플 사상 최대규모 자금 이동... 트럼프 암호화폐 "전략준비금 XRP 빅딜"

리플에서 사상 최대규모의 자금 이동이 일어나면서 리플 XRP 시세가 요동치고 있다. 암호화폐 일각에서는 이번 리플의 자금이동이 트럼프 암호화폐 전략준비금 비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단순 매각이나 보안 목적이 아니라, 정책적 이벤트와 연계된 사전 조정 신호일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있다. 그 중 하나는 미국 정부와 리플 간 협력 프로젝트의 마무리 단계에서의 자금 이동이다. 또다른 하나는 XRP 기반 현물 ETF(상장지수펀드)의 예기치 않은 승인 가능성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암호화폐 전략적 준비금에 XRP를 포함할 것”이라고 발표한 이후, 리플은 사실상 정부-민간 협력형 블록체인 기업이 됐다. 이번 자금 이동이 XRP 재무부 프로젝트와 관련된 내부 자금 재배치일 수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이번 자금이동은 리플 창립자 크리스 라센이 주도한 것이다. 1억 달러 넘는 XRP를 전송했다. 리플(Ripple) 공동창립자이자 회장인 크리스 라센이 5천만 개를 개인 지갑에서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외부 주소로 이체한 사실이 드러났다. 이 대규모 이동은 암호화폐 추적 서비스 ‘웨일 얼러트’를 통해 포착됐으며, 거래 직후 XRP 커뮤니티(일명 ‘XRP 아미’)에서는 “내부 전략 조정의 신호가 아니냐”는 추측이 빠르게 확산됐다.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는 대형 보유자의 자산 이동이 가격 변동에 직결될 수 있기 때문에, 이번 거래는 즉각적으로 시장 경계심을 자극했다. 라센이 리플의 핵심 경영진으로, 회사의 전략 방향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물이라는 점에서 “단순한 개인 거래는 아닐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XRP 현물 ETF 승인도 주목된다.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이후, 이더리움·리플 등 주요 코인에 대한 유사 상품 심사를 검토 중이다. 시장 일각에서는 SEC가 ‘기존 신탁 구조 내 파생상품 편입’이라는 **제도적 루프홀(법적 회색지대)**을 통해 XRP ETF를 빠르게 승인할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리플 주변에서는 불안과 기대가 교차하는 분위기다. 일부 투자자들은 “거래소 상장 이전의 내부 이동일 가능성”을 언급하며 조기 매도에 나섰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ETF 승인과 정부 파트너십의 신호탄일 수 있다”며 매수세를 유지하고 있다. 라센이 직접 움직였다는 점이 특히 주목하다. 중요하다”, “그가 단기 매도자일 리 없다”는 의견이 주류를 이룬다. 실제로 크리스 라센은 2023년 SEC 소송 당시 리플의 법적 방어를 주도하며 XRP 생태계를 지켜온 인물로 평가받는다.
리플은 송금·결제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기관용 디지털 자산 인프라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XRP의 사용처를 중앙은행 간 결제망, 정부 디지털 화폐 브릿지, 국채 담보 시스템으로 확장하기 위한 사전 정비로 해석된다. 라센의 이체는 내부 자산 재배치이자 ‘리플 재무 네트워크의 리셋(Reset)’ 신호일 수 있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디지털 준비금 정책과 맞물려 더 큰 그림이 그려지고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리플(Ripple)의 지원을 받는 핀테크 기업 에버노스 홀딩스가 10억 달러 규모의 스팩(SPAC) 합병을 추진한다. 목표는 세계 최대 규모의 XRP 국채 기반 디지털 재무부(Treasury) 설립이다.

이번 합병은 Armada Acquisition Corp. II와의 결합 형태로 진행되며, 일본의 SBI홀딩스가 약 2억 달러를 출자하기로 알려졌다. XRP 기반의 국채 운용 모델이 본격 가동될 경우, 전통 금융과 디지털 자산의 경계가 한층 더 좁혀질 전망이다. 이번 스팩 합병의 핵심은 단순한 자본 유입이 아니다. 에버노스는 리플이 보유한 결제 네트워크 인프라를 기반으로, 정부·기관급 채권 시장에서 XRP를 활용하는 디지털 재무 플랫폼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에버노스의 관계자는 “이번 합병은 XRP의 금융 인프라 확장뿐 아니라, 각국 중앙은행 및 기관 투자자들에게 XRP가 ‘거래 수단을 넘어선 가치 저장 수단’임을 입증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네바다 기반 신생 기업 에버노스 홀딩스(Evernorth Holdings Inc.)가 기관 규모의 엑스알피(XRP) 도입 가속화를 유일한 목표로 공개 출범을 발표했다. 에버노스는 특수목적인수회사(SPAC)인 아르마다 어퀴지션(Armada Acquisition Corp II)과 기업결합 계약을 체결했으며, 합병 완료 후 나스닥(Nasdaq)에서 티커 심볼 XRPN으로 거래될 예정이다.이 합병을 통해 총 10억 달러의 수익금을 조달해 역대 최대 규모의 XRP 재무를 구축할 계획이다. 리플(Ripple)의 오랜 파트너인 SBI 홀딩스(SBI Holdings)가 2억 달러를 투자하며 자금 조달을 주도한다. 리플을 비롯해 판테라 캐피털(Pantera Capital), 리플웍스(Rippleworks), 크라켄(Kraken) 등의 투자자들도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리플 공동창업자이자 회장인 크리스 라슨(Chris Larsen)을 포함한 주요 디지털 자산 리더와 투자자들도 지원에 나섰다. 순수익금의 대부분은 공개시장에서 XRP를 매입해 세계 최대 기관용 XRP 재무를 구축하는 데 사용되며, 나머지 자금은 일반 기업 목적, 운영 자본, 거래 비용에 투입된다.

리플 최고경영자(CEO)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는 별도의 성명에서 프로젝트에 대한 회사의 투자와 파트너십을 강조했다. 갈링하우스는 아시시 빌라(Asheesh Birla)가 이끄는 에버노스에 대한 강력한 지지를 표명하며, 이번 계획이 XRP의 기관 대출과 디파이(DeFi) 수익 기회를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빌라가 프로젝트를 이끌 예정이며, 리플은 전략적 투자자로 남는다. 갈링하우스와 함께 리플의 최고기술책임자(CTO) 데이비드 슈워츠(David Schwartz), 최고법무책임자(CLO) 스튜어트 앨더로티(Stuart Alderoty)가 전략 고문으로 참여한다.리플(Ripple)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알려진 네바다 본사의 신설 기업 에버노스 홀딩스가 10억 달러규모의 XRP 재무 회사를 설립하겠다는 목표와 함께 공개 상장 계획을 전격 발표해 암호화폐 시장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뉴욕증시 상장사가 리플을 집중매입하는 이른바 XRP 트러제리 프로젝트가 본격 가동되고 있는 가운데 나스닥 상장사 비보파워(VivoPower)가 2억 달러 규모의 엑스알피(XRP) 트레저리 수익 프로그램을 발동했다. 비포파원는 일단계로 그중 3,000만 달러를 배정했다고 발표했다.

비보파워는 2016년 나스닥에 상장한 뉴욕증시 상정업체이다. 비보파워는 디지털 재무 전략 전환을 추진하며 XRP 중심의 자산 운용에 나섰다. 이번 조치를 통해 회사는 장기적으로 XRP를 확보·관리하고, XRP 원장(XRPL) 기반의 탈중앙 금융 인프라와 실물 블록체인 응용 사례를 지원하겠다는 구상을 공개했다. 비보파워는 도플러 파이낸스(Doppler Finance)와 협력해 기관 투자자급 수준의 XRP 수익 프로그램을 설계·운영한다. 그 첫 단계로 투입된 3,000만 달러 이후 총 2억 달러 규모로 확대할 계획이다. 비보파워는 XRP 토큰 직접 매입 외에도 리플(Ripple)의 비상장 주식 일부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올해 8월 발표된 전략의 일환으로, 회사는 초기 1억 달러를 배정해 리플 지분 확보에 나섰다. 앞서 미국 상장사 에브리씽 블록체인(Everything Blockchain)이 플레어(Flare)와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XRP 파이낸스(XRPFi) 프레임워크를 도입하기로 한 바있다. 이번 비보파워의 결정은 XRP 기반 재무 전략을 채택하는 상장사가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비보파워가 직접 XRP를 보유하며 탈중앙 금융 활용과 블록체인 응용을 지원하겠다고 밝히면서, XRP의 제도권 확산에 한층 힘이 실리는 모습이다.

리플(Ripple), 코인베이스(Coinbase), 체인링크(Chainlink), 갤럭시(Galaxy), 크라켄(Kraken), 유니스왑(Uniswap), 서클(Circle) 등 주요 암호화폐 기업의 임원들이 이번 주 친(親)암호화폐 성향의 민주당 상원의원들과 라운드테이블 회의를 가질 예정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이번 회의는 미국 정부의 셧다운으로 암호화폐 ETF 승인 절차가 지연되면서 시장 전반이 약세를 보이는 가운데 열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회의에는 코인베이스의 브라이언 암스트롱(Brian Armstrong), 체인링크의 세르게이 나자로프(Sergey Nazarov), 갤럭시의 마이크 노보그라츠(Mike Novogratz), 크라켄의 데이브 리플리(Dave Ripley), 유니스왑의 헤이든 애덤스(Hayden Adams) 등이 참석한다. 솔라나 폴리시 인스티튜트(Solana Policy Institute) 크리스틴 스미스(Kristin Smith) 회장, 서클의 CSO 단테 디스파르테(Dante Disparte), 리플의 CLO 스튜어트 올더로티(Stuart Alderoty), 지토(Jito)의 CLO 레베카 레티그(Rebecca Rettig), a16z 크립토의 법률 고문 마일스 제닝스(Miles Jennings) 등 암호화폐 정책 관련 주요 인사들도 함께할 예정이다.

<이 기사는 투자 가이드가 아닙니다. 투자는 본인의 판단과 책임으로...손실에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