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비트코인 채굴 "암호화폐 정책 전면 수정" ... 스테이블코인 중단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비트코인 채굴 "암호화폐 정책 전면 수정" ... 스테이블코인 중단

파이낸셜타임스(FT)보도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 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
중국 비트코인 채굴 재개 "세계 3위" 암호화폐 정책 전면 수정... 스테이블코인 중단

채굴을 금지한 것으로 알려졌던 중국이 비트코인 채굴에서 세계 3위에 오른 사실아 알려져 주목을 끌고 있다. 중국은 2021년 비트코인 채굴을 전면 금지 한 바 있다. 그럼에도 2025년 중국이 다시 비트코인(BTC) 채굴 허브로 재부상하며 세계 3위에 올랐다. 신장 지역을 중심으로 은밀히 복귀한 채굴 세력이 전 세계 해시레이트 지형을 바꾸고 있다.

27일 뉴욕증시와 암호화폐 전문매체 AMB크립토에 따르면, 중국은 비트코인 네트워크 총 해시레이트의 14.05%를 점유하며 미국과 러시아에 이어 세계 3위 채굴 허브로 부상했다. 이는 올해 3분기 13.8%에서 소폭 상승한 수치다. 중국은 2021년 금융범죄 억제와 금융시스템 안정을 이유로 암호화폐 채굴과 거래를 전면 금지했다. 당시 중국인민은행은 암호화폐가 금융 안정성을 위협한다고 경고하며 모든 거래를 불법화했다. 그러나 최근 자료에 따르면 채굴은 완전히 중단되지 않았으며 지하에서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암호화폐 채굴 데이터 분석업체 럭서(Luxor)의 글로벌 해시레이트 지도에 따르면, 중국의 해시레이트는 145EH/s에 달한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 중 상당수가 신장 지역에서 이뤄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신장은 값싼 에너지와 지리적 이점으로 과거에도 대규모 채굴지로 꼽혀왔다.중국의 채굴 금지 정책에도 불구하고 신장 지역의 채굴자들이 조용히 복귀하면서 글로벌 채굴 지형이 다시 요동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알리바바와 징둥닷컴 등 중국 주요 빅테크(거대 정보기술기업)들이 홍콩에서 추진하던 스테이블 코인 발행 계획을 중단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중국 스테이블코인 관련 업체들이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과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CAC) 등으로부터 스테이블코인 관련 프로젝트를 당분간 추진하지 말라는 지시를 받은 뒤 계획을 전면 보류한 상태라고 전했다. 알리바바 계열 핀테크 기업 앤트그룹과 전자상거래 업체 징둥닷컴은 홍콩의 스테이블코인 시범사업에 참여하거나 가상자산 기반 금융상품을 발행할 계획을 세운 바 있다. 그러나 중국 당국이 민간기업의 실제 발행에 제동을 걸면서 사업이 무산될 상황에 놓인 것이다.

인민은행 관계자는 FT에 기술기업이나 증권사가 어떠한 형태로든 화폐 발행에 관여하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판단, 스테이블코인 발행 계획 중단 방침을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한 관계자는 민간 스테이블코인 발행이 인민은행의 디지털화폐 프로젝트(e-CNY)에 도전하는 것으로 인식됐다고 부연했고, 또 다른 관계자는 "화폐 발행에 대한 최종 권리가 중앙은행인지, 아니면 시장의 민간 기업인지가 문제"라고 말했다. 스테이블코인은 달러 등 법정통화에 연동된 디지털 자산으로, 암호화폐 시장의 주요 결제 수단이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전 세계 스테이블코인 공급의 99%가 달러화에 교환가치를 고정하고 있다.

FT는 "규제 당국 움직임은 각국 정부가 스테이블코인 확산에 어떻게 대응할지 고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중국은 특히 '화폐 발행권이 중앙은행에만 속하는가'라는 근본적 질문에 직면해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은 금융 시스템 안정성을 흔들 가능성에 대한 우려로 2021년부터 가상화폐 거래와 채굴을 금지하는 등 보수적 입장을 견지해왔다. 홍콩금융관리국(HKMA)은 지난 8월부터 일정 수준의 자본금, 유동자산, 준비금 요건 등을 충족한 사업자가 당국 허가를 받아 홍콩에서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거나 유통할 수 있도록 하는 스테이블 코인 관련 조례를 발효시키며 중국 본토의 정책 실험 무대로 주목받아왔다.

주광야오 전 중국 재정부 부부장(차관)은 한 포럼에서 "미국이 스테이블 코인을 장려하려는 전략적 목적은 달러 패권 유지를 위한 것"이라면서, 중국이 인민폐 연동 스테이블 코인을 개발해 이에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홍콩의 시범 프로그램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며 "위안화 스테이블코인은 국가 금융 전략의 전반적 설계에 통합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저우샤오촨 인민은행 전 총재는 그러나 "스테이블코인이 투기와 금융 불안을 초래할 수 있다"며 신중론을 제기한 바 있다. 저우 전 총재는 "실제 수요를 면밀히 검토해야 하며, 결제 시스템 비용 절감 효과도 제한적"이라고 우려했다. 인민은행은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 중단 지시와 관련한 논평을 거부했다. 홍콩금융관리국과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 앤트, 그리고 징둥닷컴도 FT의 논평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