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1센트 동전’ 생산 중단에 美 소매업계 "거스름돈 혼란"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1센트 동전’ 생산 중단에 美 소매업계 "거스름돈 혼란"

지난달 10월 23일(현지시각)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의 퀵트립 매장 계산대에 1센트 동전과 기타 미국 주화들이 놓여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지난달 10월 23일(현지시각)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의 퀵트립 매장 계산대에 1센트 동전과 기타 미국 주화들이 놓여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 정부가 1센트 동전(페니) 생산을 중단하면서 전국의 주유소·패스트푸드점·대형마트 등 현금 거래 매장들이 가격 반올림과 잔돈 조정 방식을 놓고 혼란에 빠졌다고 로이터통신이 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올해 초 1센트 동전 생산 중단을 지시한 이후 페니가 예상보다 빠르게 사라지자 일부 매장은 손해를 감수하며 거래를 이어가고 있다. 업계에서는 연방정부의 명확한 지침이 없어 “법 위반 위험까지 떠안게 됐다”며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전미소매연맹(NRF)의 딜런 전 대외협력 담당 이사는 “현금을 받는 모든 상점이 이 문제에 직면해 있다”며 “도시와 농촌을 가리지 않고 페니 부족이 확산 중”이라고 말했다. NRF는 트럼프 행정부와 의회에 “현금 거래 시 반올림이 허용되는지 명확히 해달라”고 촉구했다.

편의점 체인 시츠는 펜실베이니아 매장에 ‘미국 조폐국이 더 이상 페니를 생산하지 않아 거스름돈이 부족하다’는 안내문을 붙였다. 고객에게 카드 결제나 잔돈 반올림을 권장하고 1달러어치 페니를 가져오면 무료 음료를 제공하는 이벤트도 진행 중이다.

위스콘신주 라크로스에 본사를 둔 퀵트립은 중서부 지역 850개 매장에서 현금 거래를 5센트 단위로 올리거나 내리는 제도를 도입했다. 댈러스 매장에서는 ‘미 재무부가 페니 생산을 중단해 거스름돈 부족이 예상된다’는 문구가 걸려 있다.

대형 유통업체 크로거는 “현재 영향 평가 중”이라며 “2700개 매장 중 상당수가 고객에게 ‘정확한 잔돈 준비’를 요청하고 있다”고 밝혔다. CVS, 올드네이비 등 다른 체인도 비슷한 안내문을 내걸며 대응 중이다.

문제는 일부 주(州) 법령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캘리포니아·뉴욕·일리노이주 등은 ‘현금 거래 시 정확한 잔돈 지급’을 의무화하고 있어 소매업체들이 금액을 반올림할 경우 소비자보호법 위반이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일부 매장은 고객 불만이나 과태료 위험을 우려해 반올림을 적용하지 못한 채 자체 손실을 떠안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명령 이후 미 재무부는 지난 5월 마지막으로 빈 동전 원판을 주문했으며 이후 일부 연방준비은행은 은행 및 신용조합에 대한 페니 공급을 중단했다.

미 재무부는 1센트 동전 한 개의 제조 비용이 3.69센트로 액면가를 웃돌며 생산 중단으로 연간 약 5600만 달러(약 786억8000만 원) 절감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현재 미국 내 유통 중인 페니는 약 1140억개로 추정되지만 대부분 서랍·저금통 등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고 재무부는 설명했다.

러브스 트래블스톱스는 “페니가 떨어진 매장은 고객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잔돈을 조정하고 회사가 차액을 부담하고 있다”며 “장기적 해결책이 마련될 때까지의 임시조치”라고 전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