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자동차 판매 ‘급제동’…구매 심리 얼어붙으며 연말 성장률 부담

글로벌이코노믹

美 자동차 판매 ‘급제동’…구매 심리 얼어붙으며 연말 성장률 부담



지난 2019년 2월 19일(현지시각) 미국 뉴저지주 뉴어크 항구에 수입 자동차가 줄지어 주차돼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2019년 2월 19일(현지시각) 미국 뉴저지주 뉴어크 항구에 수입 자동차가 줄지어 주차돼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의 자동차 판매가 올가을 들어 뚜렷한 둔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매 급증으로 성장률을 끌어올렸던 지난봄과 여름과 달리 미국 소비자들이 다시 지갑을 닫기 시작했다고 미국 경제매체 마켓워치가 5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10월 기준의 미국의 신차·트럭 판매는 연율 기준 1530만대로 집계됐다. 연율 기준 1530만대는 10월과 같은 판매 속도가 12개월 지속된다고 가정할 때의 연간 판매량을 뜻한다. 이는 전달보다 약 7% 줄어든 수치로 17개월 만에 가장 적은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가장 큰 원인으로 9월 말 종료된 전기차 구매 관련 연방 세액공제를 꼽는다. 올해 초부터 세제 혜택이 종료되기 전에 차량을 확보하려는 수요가 몰리면서 판매가 급증했지만 10월 들어 수요가 급격히 식었다는 것.

가격 부담도 적지 않다. 켈리블루북은 미국 내 신차 평균 가격이 처음으로 5만달러(약 7225만원)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이같은 가격 상승은 차량 대출과 보험료 부담을 가중시키며 구매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

실제로 자동차 할부 연체율은 30년 만에 최고치, 차량 압류 건수는 16년 만에 최대치로 치솟았다. 일부 금융사는 신용 위험을 이유로 신규 대출 심사를 더욱 까다롭게 하고 있다.

판매 둔화는 미국 경제에도 부담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마켓워치는 전했다. 차량 판매는 소비지출에서 비중이 큰 항목이기 때문에 4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는 얘기다.

향후 자동차 업계에는 추가적인 악재도 남아 있다. 미국의 자동차·부품 관세 인상 효과는 아직 본격적으로 가격에 반영되지 않았다. 제조사와 딜러가 기존 재고를 소화하기 위해 마진을 줄이며 가격을 억제해 왔지만 이러한 방식은 오래 유지되기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그레이스 즈웨머 부연구원은 “지금까지는 국내외 제조사가 관세 부담을 마진으로 흡수했지만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관세가 전부 소비자 가격으로 전가되진 않겠지만 일부만 반영돼도 판매 둔화는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업계는 내년부터 분위기가 반전될 가능성도 열어 두고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가 금리를 인하하면서 차량 대출금리가 낮아지고 2026년부터는 자동차 대출 이자에 대한 새로운 세액공제 혜택이 도입될 예정이다. 마켓워치는 내년 미국 경제가 금리 하락, 고용 회복, 통상 환경 개선 등에 힘입어 성장 속도를 되찾을 것으로 예상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