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이 사상 최장을 기록하면서 연방준비제도가 의존하는 핵심 경제통계가 사실상 멈춰 섰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0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지난 두 달 치 고용보고서 발표가 무기한 연기된 데 이어 이번 주 공개될 예정이었던 소비자물가지수(CPI)마저 불투명해지며 통계 공백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블룸버그는 “통계 자료의 ‘데이터 안개’가 점점 짙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미 노동통계국(BLS)은 당초 오는 14일 10월 기준 CPI를 발표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셧다운으로 조사관들의 현장 조사가 중단됐고 상당수 공무원이 출근하지 못하면서 자료 취합 자체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블룸버그는 “이 때문에 10월 CPI를 통째로 건너뛰는 상황까지 거론되고 있다”고 전했다.
통상 CPI는 연준의 금리 결정에서 가장 중요한 기준지표다. 인플레이션 둔화를 확인해야 금리 인하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물가 지표가 사라질 경우 연준은 민간 기관이나 지역 연준의 자체 조사 자료를 참고할 수밖에 없는 처지다. 블룸버그는 “정책결정권자들이 일관된 공신력 있는 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하면 시장 불확실성이 커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문제는 셧다운 이전부터 연준 내부 의견이 크게 엇갈려왔다는 점이다.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입장과 경기 둔화를 막기 위해 완화적 통화정책을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이 맞서는 상황에서 결정적 지표가 사라지면 혼선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블룸버그는 “두 달 연속 고용보고서가 사라졌고 10월 CPI까지 나오지 않는다면 시장은 연준의 다음 행보를 추측으로만 판단해야 한다”며 “금리와 달러, 채권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정보가 사라지는 셈”이라고 전했다.
금융시장에서는 “물가와 고용 모두가 둔화되는 추세인지 아니면 일시적 변동인지 확인할 수 없다”는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