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20일(이하 현지시각) 블룸버그통신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연준은 지난달 28~29일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3.75~4.00%로 0.25%포인트 인하했으나 회의록에 따르면 다수의 위원이 12월 회의에서의 추가 인하는 적절하지 않다는 입장을 보였다. 반면 일부 위원은 경제 흐름이 예상대로 흘러갈 경우 인하를 고려할 수 있다는 의견을 냈다.
WSJ는 회의 참가자들이 12월에 어떤 정책 결정이 적절한지에 대해 강한 이견을 보였다고 전했다. 특히 투표권이 없는 지역 연방은행 총재들이 인하에 반대한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일부 찬성파 위원들조차 동결도 가능했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회의 직후 기자회견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12월 금리 인하는 기정사실이 아니라고 말했다. 그는 적어도 기다려야 한다는 분위기가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회의에서 스티븐 미란 이사는 0.5%포인트 인하를 주장하며 반대표를 던졌고 제프 슈미트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는 인하 자체에 반대했다. WSJ는 12월 회의에서 어떤 결정을 하더라도 최소 3명 이상의 반대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연준 위원 간 갈등이 심화된 배경에는 44일간 이어졌던 연방정부 셧다운 여파로 고용·물가 지표 등 주요 통계 수집이 지연된 점도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미 노동부는 10월 고용보고서를 12월 회의 이후로 연기했다.
리치먼드 연은의 토마스 바킨 총재는 결정적 데이터를 잃은 상황에서 합의 형성이 어렵다며 회의장에서 말싸움이 벌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도 상황을 안개 속 운전에 비유했고 일부 위원은 이견은 있지만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은 것이라고 평가했다.
CNBC에 따르면 이번 의사록 공개 이후 12월 인하 가능성은 약 30%로 낮아졌으며, 1월 인하 가능성은 약 66% 수준까지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고용지표 발표 연기에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뉴욕증시] 엔비디아 기대감에 3대 지수 반등](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2006165703337be84d87674118221120199.jpg)





![[초점] 넷플릭스, ‘스트리밍’ 넘어 ‘실물 세계’로…소비자 사...](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19223058008489a1f30943117511616074.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