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오션, 호주 오스탈 지분 19.9% 확대 추진…日 '모가미급 건조' 우려 속 호주 정부 신중
3월 9.9% 취득 후 추가 확대…일본 "한국 인수 시 반응할 것" 경고
3월 9.9% 취득 후 추가 확대…일본 "한국 인수 시 반응할 것" 경고
이미지 확대보기찰머스 장관은 "이번 건은 제대로 처리하고 싶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오스탈은 호주 해군 조선소를 운영하는 방산업체로 일본 모가미급 호위함 건조 프로그램에 관여하고 있어 한화의 인수 시도가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日 모가미급 8척 건조 맡은 오스탈, 한화 인수에 일본 긴장
한화그룹은 지난 3월 오스탈 지분 9.9%를 취득했다. 한화시스템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각각 60대 40 비율로 투자한 호주 법인을 통해 이뤄진 거래다. 당시 주당 4.45 호주달러를 지불해 16% 프리미엄을 얹었다.
이후 한화는 지분을 19.9%까지 늘리기 위해 호주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FIRB)에 승인을 신청했다. 미국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는 한화의 오스탈 지분 100% 취득까지 승인하며 "미해결 국가안보 우려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화의 인수 시도에 일본 정부가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웨스트오스트레일리안(The West)은 19일 "찰머스 재무장관이 오스탈의 한국 인수에 대한 일본의 우려를 환영한다"고 보도했다.
일본 정부가 우려하는 이유는 오스탈이 호주 서부 헨더슨 조선소에서 모가미급 호위함 8척 건조를 맡기 때문이다. 호주 정부는 지난 8월 일본 미쓰비시중공업의 개량형 모가미급 호위함 11척을 100억 호주달러(약 9조 5100억 원)에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첫 3척은 일본에서 건조하고 나머지 8척은 호주 헨더슨 조선소에서 건조할 예정이다.
일본 스즈키 가즈히로 주호주 대사는 최근 캔버라 내셔널프레스클럽 연설에서 "한화의 오스탈 인수가 결정되면 일본 정부에서 반응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협상 결렬 후 지분 취득으로 전환…6개월 만에 재추진
한화오션은 지난해 4월 오스탈 인수를 제안했으나 규제 승인 문제로 협상이 결렬됐다. 오스탈 측은 당시 10억 2000만 호주달러(약 9705억 원) 규모 인수 제안을 거절하면서 "호주와 미국 규제 승인을 받을 수 있다는 확신이 없다"고 밝혔다.
협상 결렬 6개월 만에 한화는 전략을 바꿔 지분 취득 방식으로 접근했다. 호주 증권법상 외국 기업은 규제 당국 신고 없이 10%까지 지분을 매입할 수 있다. 한화는 이를 활용해 공개시장에서 9.9% 지분을 확보한 뒤 추가 지분 취득을 추진하고 있다.
한화오션 측은 "50년 이상 조선 경험을 통해 오스탈의 성장 잠재력을 확대하고 혁신을 가속화할 것"이라며 "글로벌 조선·방산 산업에서 핵심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호주 정부 고심 깊어져…방산 산업 육성·동맹 관계 사이 줄타기
호주 정부는 한화의 인수 시도와 오스탈 지원을 두고 복잡한 상황에 직면했다. 전략분석(Strategic Analysis) 웹사이트는 19일 "호주 정부가 현금화하기 어려운 국방수표를 발행하고 있다"며 호주 방산 정책의 혼선을 지적했다.
이 매체는 "한화오션의 오스탈 추가 인수 시도에 맞서는 찰머스 재무장관에게 행운을 빈다"며 "이는 모가미 호위함 프로그램을 앞둔 일본의 산업 우려 속에 나타난 것"이라고 전했다.
호주는 미국·영국과 함께 추진하는 오커스(AUKUS) 협정에 따라 원자력 잠수함도 도입할 예정이다. 방산 산업 육성과 동맹국 관계 강화라는 두 가지 목표 사이에서 호주 정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한화그룹은 지난해 필리조선소를 1억 달러(약 1467억 원)에 인수하며 미국 조선 시장 진출에 나섰다. 미 해군 함정 정비·수리 사업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오스탈은 호주 해군뿐 아니라 미 해군 연안전투함(LCS), 고속수송함, 잠수함 모듈 부품도 생산하는 앨라배마주 모빌 조선소를 보유하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실리콘 디코드] "TSMC 깃발 따라"…대만 인재 13만명 美로 대이...](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2010465303359fbbec65dfb59152449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