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를 향해 예고했던 추가 관세 부과를 유보한 가운데 캐나다가 기존의 대미(對美) 수출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24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 관세 압박과 광고 논란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캐나다가 사실을 심각하게 왜곡했고 이는 적대적 행위”라며 “기존보다 10% 추가된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캐나다 온타리오주가 미국 메이저리그 월드시리즈 기간에 방영한 반(反)관세 광고를 문제 삼아 양국 간 통상 협상을 전면 중단하겠다고 선언한 직후였다.
그러나 WP에 따르면 한 달이 지난 현재까지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에 어떠한 행정명령도 전달되지 않았고 미국 수입업자들도 새로운 규제 안내를 받지 않은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달 말 한국 경주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와 직접 대화했고 카니 총리가 광고에 대해 사과했다고 밝혔다.
◇ 캐나다의 대응과 협상 입장
백악관은 추가 관세 시행 여부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으나 익명의 미 정부 관계자는 “캐나다는 협상 테이블 위에 무엇이 올라와 있는지 잘 알고 있다”고 말해 관세 위협이 향후 협상용 카드로 활용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이 관세가 실제로 부과된다면 기존의 두 자릿수 관세에 더해 캐나다산 일부 제품에 대한 총 관세율은 최대 45%에 이를 가능성이 있다. 특히 미국과의 공급망 의존도가 높은 자동차 산업은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카니 총리는 지난 23일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한 자리에서 “우리는 캐나다의 미래와 새로운 파트너십에 집중하고 있다”며 “통상 논의는 적절한 시점에 재개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 당장 트럼프 대통령과 논의할 긴급한 사안은 없다”고 덧붙였다.
도미니크 르블랑 캐나다 통상부 장관도 “미국이 준비되면 협상에 복귀하겠다”면서 “밤 9시 30분에 누군가 보낸 문자 메시지를 놓칠까봐 알림을 켜놓고 기다리지는 않겠다”고 말했다.
현재 미국과 캐나다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1기 재임 시기 체결된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을 바탕으로 자유무역협정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는 올해 초 펜타닐 유입과 관련해 캐나다 책임론을 제기하며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목재 등 주요 품목에 두 자릿수 관세를 부과한 상태다.
◇ 무역 다변화 움직임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이 반복되자 캐나다는 미국 중심의 수출 의존에서 벗어나기 위한 외교·경제적 시도를 병행하고 있다.
카니 총리는 “2035년까지 비(非)미국 수출을 두 배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밝힌 바 있으며 지난달 31일 경주 APEC 회의 기간에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을 갖고 협력 가능성을 타진했다.
WP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캐나다로 하여금 중국·인도와 같은 기존 경쟁국들과도 무역관계를 재정비하게 만들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이는 명확한 전략 전환이라기보다는 통상 리스크 분산 차원의 접근이란 해석도 나온다.
플라비오 볼페 캐나다 자동차부품제조업협회장은 “정상 간 대화가 중요한 전환점이 됐을 수 있다”며 “협상이 수면 아래에서 조용히 이어지고 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뉴욕증시] AI株 회복세에 3대 지수 상승](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2506463900408c35228d2f517519315010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