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헤지펀드가 국채시장에서 과도한 레버리지를 활용하는 행태에 대해 규제가 시급하다고 국제결제은행(BIS) 신임 총재가 경고했다. BIS는 전 세계 중앙은행이 소속된 기구로 ‘중앙은행의 중앙은행’으로 불린다.
28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파블로 에르난데스 데 코스 BIS 총재는 전날 영국 런던정경대학(LSE)에서 행한 연설에서 “공공부채가 급증하는 가운데 국채시장 내 비은행 금융기관(NBFI), 특히 헤지펀드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새로운 금융안정 리스크가 발생하고 있다”며 “정부 채권을 담보로 한 고레버리지 거래에 대한 통제가 정책당국의 핵심 과제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문제가 된 거래는 ‘현금-선물 차익거래’다. 이는 국채 현물과 선물 간 미세한 가격 차이를 이용해 레버리지 수익을 노리는 전략으로 미국과 유럽 등 주요국에서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2021년 미국 국채 선물 거래에서 마진콜(추가 증거금 요구)이 급증하면서 시장이 급격히 흔들렸던 전례가 있어 규제 당국이 주시하고 있다.
데 코스 총재는 “미국 달러 기준 헤지펀드의 양자간 레포거래 중 약 70%, 유로화 거래의 약 50%가 헤어컷 없이 이뤄지고 있다”며 “이는 채권을 담보로 하더라도 사실상 아무 제약 없이 레버리지를 일으킬 수 있음을 뜻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위험이 누적되는 상황에서 고령화와 국방비 지출 증가가 이어질 경우 선진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비율은 2050년까지 170%에 이를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데 코스 총재는 “재정건전성 확보 조치 없이 이 수치는 현실화될 수 있다”며 “비은행 금융기관의 레버리지 억제가 필수 정책과제로 떠오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구체적 대안으로 두 가지를 제시했다. 첫째는 중앙청산소의 활용을 확대해 시장 참여자 간 공정한 거래 조건을 보장하는 것이며, 둘째는 채권을 담보로 사용하는 헤지펀드에 대해 최소 헤어컷을 의무화하는 것이다.
최소 헤어컷이란 금융시장, 특히 레포 거래나 담보대출에서 자산을 담보로 제공할 때 그 자산의 가치에서 일정 비율만큼 자동으로 깎는 규칙을 말한다. 이 경우 담보채권 가치를 일정 비율 이상 할인해 계산하게 돼 과도한 차입을 제한할 수 있다.
데 코스 총재는 “비은행 금융기관이 사상 최고 수준의 공공부채를 중개하는 현재의 구조는 매우 중대한 금융안정 리스크를 수반한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 같은 최소 헤어컷 제도를 “표적화된 방식으로 적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