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M&A] 해외 IT기업 M&A 3대 키워드… 드론·VR·인공지능

글로벌이코노믹

[M&A] 해외 IT기업 M&A 3대 키워드… 드론·VR·인공지능

美 빅6 IT기업, 2014년 이후 137건 M&A 진행… 역사상 최대
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이코노믹 김대성 기자] 해외 정보통신(IT)기업들이 유례가 없는 공격적인 인수합병(M&A)를 진행하고 있다.

전세계의 IT기술을 지배하고 있는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등 대형 기업들은 신기술을 찾아 막대한 현금을 쏟아 붓고 있다.

2014년 이후 미국의 빅6 IT기업들은 총 137건의 M&A를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M&A 역사상 유례가 없는 횟수다.

회사별로는 구글이 47개, 마이크로소프트 29개, 애플 23개, 아마존 17개, 페이스북 13개, 인텔 8개로 되어 있다.
M&A의 횟수뿐만 아니라 금액 측면에서도 과거 3년의 M&A 규모는 역사적으로 최대 규모를 달리고 있다.

KB투자증권의 이기근·이동륜·정승규 연구원은 “빅6 IT기업들은 스마트폰 시장 성장 정체에 따라 차세대 미래 먹거리를 준비 중”이라며 “이들 기업들이 초점을 맞추는 공통적인 대상은 드론, VR/AR (가상,증강현실), AI (인공지능)”이라고 분석했다.

이들은 스타트업에 불과한 기업들을 인수해 막대한 자본을 투하해 일부는 이미 상용화 또는 상용화를 코앞에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드론은 빅6 기업들이 가장 적극적으로 M&A에 나서고 있는 분야다.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은 물론 유럽과 미국의 배송 전문기업들까지 꽤 높은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했고, 까다로운 항공법 규제들에 대해서도 상당한 합의를 이뤄나가고 있다.

구글과 페이스북이 태양광을 기반으로 하여 비행을 하며 날아다니는 드론으로 WiFi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아마존의 프라임 에어가 배송하는 택배를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릴 수 있다.

VR은 구글, 애플, 페이스북, 인텔, 알리바바와 같은 기업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KB투자증권은 VR이 초기에는 헤드셋(HMD)을 중심으로 시장이 커질 것이고 중기에는 VR 전용 HMD를 통해 좀 더 눈의 피로가 줄어들고 장시간 사용이 가능해질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AI는 드론, 스마트카의 플랫폼 초기 시장 장악을 노리는 구글, 애플, 인텔 등이 적극적으로 시장 개척을 해 나가고 있으며, 상당 수준의 머신 러닝 (Machine Learning)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KB투자증권은 빠른 시일 내에 드론의 자율비행 및 스마트카의 자율 주행에 장착할 수 있는 논리적 근거를 만들기 위한 시험들이 다양하고 적극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구글은 다양한 분야에 공격적인 M&A를 시행하고 있다.

구글의 역사는 사실상 M&A 역사와 함께 한다고 볼 수 있다는 게 KB투자증권의 판단이다.

지금의 구글을 있게 한 비즈니스 모델 중 M&A를 통해 얻어진 것들이 상당하다. 대표적으로 유튜브를 들 수 있으며 현재의 스마트폰 OS를 장악한 안드로이드 역시 아주 소규모 M&A에서 출발이 됐다.

구글은 VR기업들을 대거 인수, 투자에 나서고 있으며 AI에 대해서도 과감하고 폭 넓은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더불어 드론 업체를 인수하기 위해 페이스북과 경쟁을 펼치기도 했으며 청정 에너지 분야에도 M&A의 행보를 넓히고 있는 상황이다.

애플은 VR에 집중하는 분위기다. 2015년 4월 듀얼 카메라 업체를 인수하면서 시작된 VR기업에 대한 M&A는 메타이오, 페이스시프트, 이모션트, 플라이바이미디어 등 각종 VR 관련된 기업들을 빠르고 다양하고 집중적으로 사들이고 있다.

페이스북은 폭 넓진 않으나 VR과 드론에 집중하는 모양새다. 알리바바는 현재 치우쳐 있는 소셜 쇼핑을 기반으로 플랫폼을 확대하기 위한 M&A에 집중하고 있다. 각종 언론사들을 사들이고 있으며 VR에도 일부 과감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아마존은 현재 플랫폼을 확장하는 M&A 전략을 구사하고 있고, 마이크로소프트는 AI와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장을 위한 M&A를 진행중이다.

이미지 확대보기

김대성 기자 kim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