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통계청의 ‘2018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작년 취업자는 9만7000명 늘었지만, 최저임금 인상의 영향을 받는 업종인 도매 및 소매업은 6만3000명이 감소했고, 경비원 등이 일하는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의 경우는 8만9000명이나 줄었다.
제조업은 12만7000명이 줄어 지난해 3월 이후 9개월 계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부의 ‘단기일자리 예산’이 투입된 업종에서만 일자리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이는 ‘반짝 효과’에 그쳤다.
작년 11월 16만5000명 늘었던 취업자 증가 수가 단기일자리 사업이 대충 마무리되면서 12월에는 3만4000명 늘어나는 데 불과했기 때문이다.
한편,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지난해 9.5%로 0.3% 포인트 하락했다. 20대 후반(25∼29세) 실업률은 8.8%로 0.7% 포인트 낮아졌다.
하지만, 청년 체감실업률을 보여주는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22.8%로 2015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았다.
이정선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