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일본 게임사 중 코스프레 모델을 가장 적극 활용한 곳은 반다이 남코였다. 내년 1월 출시를 앞둔 간판 게임 '철권 8' 홍보를 위해 주인공 '카자마 진'과 그의 학교 동창생 '링 샤오유'의 코스프레 모델을 선보였다. 또 올 6월 출시한 '블루프로토콜' 부스에도 코스프레 모델이 섰다.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서브컬처 IP를 적극 활용한 중국 게임사들도 대거 코스프레 모델을 선보였다. 호요버스의 '붕괴: 스타레일', 쿠로 게임즈의 '명조: 워더링 웨이브'와 '퍼니싱: 그레이 레이븐'이 대표적인 사례였다.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국산 게임들도 코스프레 모델을 선보였다. 디자드가 데뷔작으로 개발 중인 '아수라장' 부스에선 무려 네 명의 코스프레 모델이 번갈아가며 포즈를 취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국산 게임 합동 부스에서도 서브컬처 마니아들의 인기를 끌어온 '이터널 리턴' 부스에선 한국인 코스프레 모델을 만날 수 있었다.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일본 치바=이원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ony92kr@g-enews.com

































![[특징주] SK하이닉스, 시가총액 400조 '돌파'…1년만에 3배 이상...](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02915412201833edf69f862c11823510243.jpg)

![[기재위 국감] 이창용 "주 4.5일제 장단점 충분히 논의돼야"](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02913484806385bbed569d6812813480118.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