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유심보호 전면 강화한 SKT… 국회는 “9.7GB 유출, 청문회 불가피”

글로벌이코노믹

유심보호 전면 강화한 SKT… 국회는 “9.7GB 유출, 청문회 불가피”

불법 복제 차단 해외 로밍 확대
유심 품귀엔 ‘재설정 솔루션’ 도입
노력에도 신고 지연 등 책임 공방 여전
SK텔레콤이 5월 12일부터 유심보호서비스를 전면 업그레이드하며 유심 해킹 사태에 대한 기술적 대응에 나섰다. 이미지=SK텔레콤이미지 확대보기
SK텔레콤이 5월 12일부터 유심보호서비스를 전면 업그레이드하며 유심 해킹 사태에 대한 기술적 대응에 나섰다. 이미지=SK텔레콤
SK텔레콤이 5월 12일부터 유심보호서비스를 전면 업그레이드하며 유심 해킹 사태에 대한 기술적 대응에 나섰다. 이번 조치의 핵심은 해외 로밍 중에도 유심보호 기능을 적용할 수 있도록 FDS(비정상 인증 탐지 시스템) 범위를 확대한 데 있다.

SK텔레콤은 "해외에서도 단말기와 유심 정보를일치시키는 방식으로 불법 복제나 무단 기기 변경을 차단할 수 있다"며, "고객 사이버 침해를 막기 위한 전방위 기술 방어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번 서비스는 기존 가입자에게 자동 적용되며, 5월 12일부터 14일까지 모든 미가입자도 자동 등록된다.

유심 부족 현상에 대한 대책도 병행된다. SK텔레콤는 물리적 유심 교체 없이도 보안 기능을 재설정할 수 있는 '유심 재설정 솔루션'을 도입해 공급난 완화에 나섰다. 아울러 5월에는 500만 장, 6월에는 577만 장의 유심 확보 계획을 밝히며 수급 안정화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일련의 기술적 조치만으로는 소비자들의 불신을 해소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피해 규모와 사고 대응 과정에 대한 근본적인 설명과 책임 규명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 시민사회와 정치권의 공통된 문제의식이다.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이 "SK텔레콤에서 유출된 데이터는 최대 9.7GB, 약 270만 쪽 분량에 달한다"며 "사고의 귀책사유가 명확하다"고 말했다. 그는 SK그룹 최태원 회장을 청문회 증인으로 소환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파장은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한국대학교수협의회는 이번 사태를 "2300만 명에 달하는 가입자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국가재난"으로 규정했고, 일부 2금융권은 SK텔레콤 본인인증 서비스를 제한하거나 중단했다. 삼성은 주요 계열사 임직원에게 유심 교체를 지시하는 등 민간 차원의 대응도 잇따르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실질적 보상책도 요구하고 있다. 김우영 의원은 "신뢰 회복을 위해 SK텔레콤은 번호이동 위약금 20만 원을 선제적으로 면제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법률적 검토 중"이라는 원론적 입장만을 반복하고 있다.


김지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ainmai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