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들어 최고가 4조612억 달러로 경신
7월 첫 4조 달러 돌파 후 상승세 지속
제1 호재는 트럼프 행정부 법안 서명
'미국 정부 주도, 역효과 날 수도' 우려
7월 첫 4조 달러 돌파 후 상승세 지속
제1 호재는 트럼프 행정부 법안 서명
'미국 정부 주도, 역효과 날 수도' 우려

세계 암호화폐 시가총액이 7월에 이어 다시 한 번 4조 달러 선을 넘어섰다.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세계 4위인 일본의 GDP까지 넘어서며 강력한 자산으로 자리매김하는 모양새다.
12일 암호화폐 통계 사이트 코인게코(Coingecko)에 따르면, 세계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한국 시각 11일 기준 4조612억 달러(약 5640조 원)를 기록했다. 지난달 23일 집계된 4조504억 달러(약 5610조 원)를 넘어 역대 최다 시가총액을 경신했다.
이는 세계은행이 집계한 지난해 GDP 순위 4위 일본의 4조262억 달러(약 5600조 원)를 넘어선 것이며 3위 독일의 GDP 4조6600억 달러(약6470조 원)를 가시권에 넣은 수치였다.
코인게코 자료 기준 전체 암호화폐 중 시가총액 톱3 코인들의 1코인 당 거래가를 살펴보면 비트코인(BTC)은 같은 날 최고 12만2321달러(약 1억7000만 원)에 거래됐다. 7월 중순 기록한 최고가 12만2780달러를 불과 0.4% 차이로 추격했다.
시총 2위 이더리움(ETH)은 4327달러(약 60만 원)로 2021년 기록했던 역대 최고가 4666달러(약 65만 원)를 7.6% 차이까지 따라붙었다. 시총 3위 리플(XRP)의 거래가는 3.37달러(약 4700원)로 7월 기준 최고가 3.64달러(약 5060원) 대비 7.6% 낮은 수치였다.

암호화폐 시장의 이와 같은 호황은 기존과는 다른 이례적 현상이란 평가를 받는다. 기존에는 대장주 비트코인의 작업 당 채굴량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반감기' 전후에 호황이 몰렸는데, 마지막 반감기였던 2024년 4월 이후 1년이 넘게 흐른 시점에도 호황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호재의 가장 큰 요인으로는 '코인 대통령'으로 꼽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암호화폐 친화적 정책 도입이 거론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일 고용퇴직소득보장법에서 규정한 퇴직 연금을 비트코인 ETF 등 대체 자산에 투자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내용의 행정 명령에 서명했다.
올 7월에는 미국 하원에서 스테이블코인의 법적 정의와 발행 요건, 공시 의무 등을 담은 이른바 '지니어스 법안', 디지털자산 규제 관할을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아닌 상품선물거래위원회(CTFC)가 맡도록 하는 '클래리티 법안', 연방준비제도에서 개인에게 직법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를 발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안티 CBDC법' 등 이른바 '코인 3법'이 통과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중 지니어스 법안에 즉시 서명, 발효했으며 클래리티 법과 안티 CBDC법은 상원에서 심의를 거칠 예정이다.

업계 일각에서는 암호화폐 호황의 제1 원인이 트럼프 행정부로 꼽히는 만큼 정부 영향력이 과도하게 적용되고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암호화폐를 위시한 블록체인의 주요 철학은 어떠한 중앙화된 권력에도 예속되지 않는 자유로운 경제체계, '탈중앙화'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당선 전후로 암호화폐 사업을 '미국이 지배'할 것이라고 수차례 공언했다. 스테이블코인 사업에 있어서도 달러 스테이블코인이 미국 달러의 세계 경제 지배력을 확대하는 것이 주요 목적 중 하나라고 언급했다.
미국 경제 전문지 배런스는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친암호화폐 정책이 기존 금융 체계와 암호화폐 시장의 경계를 흐려 새로운 경제 위기를 낳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배런스는 "2022년 암호화폐 거래소 FTX의 파산과 암호화폐의 대규모 폭락은 당시 보편적인 경제나 금융 시스템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면서 "다음에도 암호화폐 업계에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한다면 상황이 매우 달라질 것"이라고 평했다.
이원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ony92kr@naver.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