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GPU 협의체 출범했지만…인프라 축소·해외 규제에 '국내 AI 흔들'

글로벌이코노믹

GPU 협의체 출범했지만…인프라 축소·해외 규제에 '국내 AI 흔들'

과기정통부·네이버·카카오·NHN, 1.46조 투입 통합지원 추진
AI 투자 확대 언급과 달리 실질 기반 인프라 축소
해외 물리적 망 분리 질타 등 업계 국내 경쟁력 우려
국내 인공지능(AI) 생태계 강화의 핵심 축으로 꼽히는 GPU 확보 사업이 본격 가동됐다. 이미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CI. 이미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미지 확대보기
국내 인공지능(AI) 생태계 강화의 핵심 축으로 꼽히는 GPU 확보 사업이 본격 가동됐다. 이미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CI. 이미지=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내 인공지능(AI) 생태계 강화의 핵심 축으로 꼽히는 GPU(그래픽처리장치) 확보 사업이 본격 가동됐다. 그러나 클라우드 예산 축소와 해외 디지털 규제 압력이 겹치면서 "겉은 투자, 속은 부실"이라는 업계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GPU 협의체 출범이 '투자 확대'와 '인프라 축소'라는 모순적 상황 속에 놓이게 됐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21일 네이버클라우드와 카카오엔터프라이즈, NHN클라우드와 함께 총 1조4600억 원 규모의 'GPU 인프라 구축 사업 실무협의체'를 출범시켰지만 업계에서는 AI 투자 확대와 달리 기반 인프라는 위축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 21일 회의에서 관계자들은 연내 'GPU 통합지원 플랫폼'을 마련해 국내 산·학·연이 고성능 컴퓨팅 자원을 안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오는 10월 플랫폼 시범 가동하고 11월에는 1차 GPU 지원 신청 접수하며, 12월에는 순차 지원할 방침이다.

정부는 "AI 산업 기반을 튼튼히 하려면 GPU 공급망을 안정화해야 한다"며 사업 차질을 막기 위해 협의체를 수시로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네이버·카카오·NHN 역시 각사 데이터센터 역량과 클라우드 인프라를 연계해 지원 범위를 넓히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내년도 과기정통부 클라우드 관련 예산이 절반 가까이 삭감될 것으로 알려지며 'AI라는 간판은 내세우면서, 정작 해당 연산 토대인 클라우드는 홀대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다. IT 업계 한 관계자는 "클라우드는 GPU 활용과 AI 학습·검증의 필수 인프라인데, 예산 축소는 장기적 경쟁력을 스스로 갉아먹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국제 환경 변수도 부담이다. 미국 IT 업계는 최근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한국 정부의 온라인플랫폼법 추진과 정밀지도 반출 제한, 클라우드보안인증제(CSAP)와 공공망 분리 규정 등을 '디지털 무역 장벽'으로 지목하며 공세를 강화했다. 특히 "한국은 주요 동맹국 중 거의 유일하게 정밀지도 반출을 막고 있다"는 지적까지 나오며 글로벌 기업의 국내 서비스 확대에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불거졌다.

IT 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클라우드 등 균형을 놓친채로 흘러가면 외산 클라우드 의존이 심화하고, 국내 AI 경쟁력이 구조적으로 흔들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지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ainmai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