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LG U+, 글로벌 학회서 '익시젠' 인정받아

글로벌이코노믹

LG U+, 글로벌 학회서 '익시젠' 인정받아

EMNLP 2025서 논문 채택…산업 특화 AI 기술력 입증
sLLM효율·품질 동시 향상…통신·금융 등 현장 적용성 검증
한국발 AI 연구의 글로벌 학문적 검증
LG U+는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 기술 '익시젠'관련 논문이 세계 최고 수준의 자연어처리(NLP) 학회인 ‘EMNLP 2025’에 채택됐다고 밝혔다. 사진은 이번 논문 집필에 참여한 LG유플러스 구성원들. 사진=LG U+이미지 확대보기
LG U+는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 기술 '익시젠'관련 논문이 세계 최고 수준의 자연어처리(NLP) 학회인 ‘EMNLP 2025’에 채택됐다고 밝혔다. 사진은 이번 논문 집필에 참여한 LG유플러스 구성원들. 사진=LG U+
LG유플러스(이하 LG U+)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 '익시젠'의 자연어처리능력이 국제 학술대회에서 인정받았다.

23일 LG U+는 세계 최고 수준의 자연어처리(NLP) 학회인 '자연어처리의 경험적 방법(EMNLP) 2025'에서 익시젠과 관련된 논문이 채택됐다. EMNLP는 국제언어학회(ACL) 산하에서 주관하는 세계 3대 자연어처리 학회 중 하나로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주요 연구기관의 최신 AI 연구 성과를 엄격하게 심사해 평가한다.

LG U+가 제출한 논문은 '도메인 특화 학습을 통한 산업 특화 소형 언어모델 고도화'로 소형 언어모델(sLLM)의 효율과 품질을 동시에 높이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안했다. 산업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학습하면서도 범용 언어 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도메인 특화 학습(DACP)'기법을 활용한 것이 좋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기존 sLLM 모델은 특정 산업 환경에 맞게 학습할 경우 일반 언어에 대한 이해력은 떨어지고 반대로 범용 성능을 유지할 경우 산업 적합도가 낮아지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LG U+는 DACP를 통해 산업 데이터와 일반 데이터를 균형 있게 학습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실제 적용 결과 통신·금융 분야에서 기존 모델 대비 성능을 크게 향상과 초거대 AI 모델이 아니더라도 소형 모델로 실제 산업 환경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이번 논문 채택은 LG U+의 연구가 학문적으로뿐 아니라 산업적으로도 높은 완성도를 인정받았다.
초거대 모델을 직접 운영하기 어려운 기업들도 DACP 기반의 소형 모델을 활용하면, 비용과 인프라 부담 없이 산업 맞춤형 AI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데이터가 방대하고 보안이 중요한 통신과 금융, 교육, 제조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LG U+는 자체 개발한 sLLM인 익시젠의 성능을 고도화하고 검증하기 위해 노력했다.

실제로 올해 익시젠은 사내 임직원을 위한 AI 플랫폼뿐만 아니라 산업계 및 교육계와 협업해 특화 sLLM 개발에 활용하는 등 다양한 측면에서 활용도를 높여가고 있다. 지난 3월에는 MWC25 기간 중 진행된 '레드팀챌린지'에 참여해 익시젠의 신뢰성을 검증받기도 했다. 향후 LG U+는 익시젠 고도화를 위해 다양한 기술을 연구하고 적용해 나갈 방침이다.

한영섭 LG U+ AI테크랩장은 "EMNLP는 전 세계 AI 연구자들이 가장 주목하는 학회 중 하나로 이번 논문 채택은 LG U+의 산업형 AI 기술이 세계적으로 학문적 검증을 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산업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실용적인 AI 연구를 통해 한국형 AI의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