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AI 구축·혁신 경험 공유…데이터센터 지원 필요성 강조
데이터센터, 더 나은 미래 만들어 가는데 꼭 필요한 핵심 인프라
최 대표 "제도적 지원으로 활력 불어넣어"
데이터센터, 더 나은 미래 만들어 가는데 꼭 필요한 핵심 인프라
최 대표 "제도적 지원으로 활력 불어넣어"
이미지 확대보기29일 최 대표는 APEC CEO 섬밋의 두 번째 주제 세션에서 약 10분간 AI 데이터 센터 구축의 중요성과 제도적 지원 필요성을 주제로 기조발표를 진행했다. 해당 세션에는 아마존웹서비스의 맷 가먼 CEO와 메타 사이먼 밀너 부사장이 함께 발표자로 연단에 섰다.
최 대표는 "네이버가 만들고 있는 AI는 디지털 생태계를 더 섬세하게 연결하는 도구이자 이용자와 창작자, 판매자의 가능성을 실현하고 성장을 지원하는 도구 역할을 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네이버는 일찍부터 AI 기술에 선제적으로 투자해 왔고 이를 통해 인프라부터 모델·서비스까지 아우르는 풀스택 AI 생태계를 구축했다"고 소개했다.
그는 이어 "특히 이러한 AI 기술 발전의 혜택은 궁극적으로 모두에게 돌아가야 한다"며 "모두에게 더 나은 미래를 가능하게 하는 AI 기술 구현의 토대이자 핵심 인프라는 바로 AI 데이터센터"라고 강조했다.
최 대표는 AI 데이터센터 지원을 위해 정부와 국회가 추진 중인 특별법에 대해서 "국가 산업 체질을 AI로 전환되는 제도적 기반이 될 것"이라면서 "이러한 정부와 국회의 적극적인 노력은 기업 뿐만 아니라 모두에게 더 나은 미래를 가능하게 하는 인간 중심의 포용적 AI의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또한 최 대표는 "AI 데이터센터가 당면한 전력·환경 문제 등은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오늘 이 자리가 우리 모두의 공동 과제를 함께 해결하는 의미 있는 협력의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최 대표는 28일 APEC CEO 섬밋의 부대행사로 개최된 APEC 퓨처 테크 포럼에도 기조 연설자로 참석해 네이버의 풀스택 AI 구축 경험과 산업 적용의 교훈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한편 이번 섬밋은 APEC 정상회의의 경제 분야 핵심 행사로 28일부터 31일까지 APEC 회원 경제 정상들과 글로벌 기업 CEO 등 약 1700명이 참석해 다양한 글로벌 의제와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총 20개 세션으로 이뤄진 섬밋의 주요 의제로는 AI를 비롯해 반도체와 공급망, 디지털 헬스 케어, 수소 협력, 탄소 중립, K-컬처 등 다양한 산업 관심 현안이 총망라됐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