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소비 변화에 맞춰 ‘피드형 보상’ 모델 도입
창작자 보상 강화해 클립 생태계 활성화
카테고리 다각화, 인증마크 신설 등 ‘정보 태그’ 강화
창작자 보상 강화해 클립 생태계 활성화
카테고리 다각화, 인증마크 신설 등 ‘정보 태그’ 강화
이미지 확대보기17일 네이버에 따르면 클립은 크리에이터가 더 많은 이용자와 연결될 수 있도록 홈피드와 주제피드, 통합검색, 플레이스 등으로 콘텐츠 노출을 확대했다. 특히 일평균 1000만 이용자가 방문하는 홈피드를 통해 인공지능(AI) 추천을 기반으로 끊임없이 클립을 발견하고 탐색하는 사용성이 증가하고 있다. 콘텐츠 소비 변화에 맞춰, 클립은 지난 8월 정식 선보인 '광고 인센티브 프로그램'에 피드형 보상 모델을 새롭게 추가하기로 했다.
기존에는 클립 서비스 내에서 소비되는 콘텐츠를 대상으로 유효 조회 수에 따라 광고 수익 중 일부를 분배했다면 피드형 보상 모델을 통해 홈피드에 노출되는 클립 숏폼 영상들에 대해서도 수익화를 지원한다. 피드형 보상 모델은 이달부터 시범 운영을 거쳐 내년 중 정식 도입될 예정이다.
클립은 크리에이터가 더 안정적인 환경에서 창작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창작자 지원 프로그램을 다각화했다. △광고 수익 공유 모델인 '광고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비롯해 △클립 크리에이터와 브랜드사 간 연계를 지원하는 '브랜드 스폰서십 프로그램' △스마트스토어 제휴 어필리에이트 모델 '쇼핑 커넥트' △'오늘 여기 클립'과 시즈널 챌린지 등 폭넓은 창작자 보상 프로그램 등을 운영 중이다. 향후 창작자 생태계가 활성화되고 양질의 콘텐츠가 증가하는 선순환 구조가 안착할 수 있도록 폭넓고 다양한 지원안을 마련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지난 5월에는 '쇼핑 커넥트' 태그를 추가해 클립 크리에이터도 스마트스토어 사업자의 상품을 홍보·판매하고 판매 실적에 따라 수익을 공유받는 어필리에이트 모델을 지원한 바 있다. 나아가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방송, 영화 등 엔터테인먼트 태그를 추가하며 향후 스포츠, 경제 등 정보 태그 카테고리를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정보 태그에 이용자가 직접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했다는 '인증'마크도 추가된다. 창작자들은 네이버 주문 및 예약을 통한 장소 방문 내역과 네이버페이 상품 구매 내역 등을 연동해 콘텐츠 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I로 창작자의 콘텐츠 속 장소 정보, 이미지를 분석해 관련 정보 태그를 자동으로 추천해주는 기능도 선보이며 기록의 편의성을 더 높일 예정이다.
개별 클립 프로필 내에 장소태그가 첨부된 콘텐츠만 모아볼 수 있는 장소기록 탭과 쇼핑태그가 첨부된 콘텐츠만 모아볼 수 있는 '쇼핑기록' 탭도 추가해, 이용자들이 주제별 콘텐츠를 편리하게 모아볼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외에도 기존 △추천판 △인기판 △스팟판 등에 더해 팔로우한 크리에이터의 새로운 콘텐츠를 더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독판'을 신설하고 창작자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1:1 대화 기능도 추가된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



















![[유럽증시] 주요국 증시 일제히 하락세...영국 FTSE 지수 0.05% ...](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4022117121705913edf69f862c5918150239.jpg)
![[일본증시] 닛케이평균, 관광주 매도세로 소폭 하락](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4080515474400644e250e8e1881062522498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