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화된 시설 교체 및 스마트그리드 도입사업 등이 추진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국내 기업의 관심이 요망되고 있는 것.
브라질은 올해 40년만의 겪는 기록적 가뭄으로 대부분의 수력발전소가 낮은 하천 수위로 인해 발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수력발전보다 4배에서 6배 발전 단가가 높은 화력발전을 통해 대부분의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로 이미 이로 인한 전력 부족으로 지난달 4일 총 13개주와 브라질리아 행정주에 대규모 정전사태가 일어나 600만 명이 피해를 입은 상태.
이후 브라질 전력모니터링위원회(CMSE)가 에너지 배전시스템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함에 따라 지난달 말 정부는 처음으로 향후 이같은 대규모 정전사태가 다시 일어날 수도 있다고 시인하는 등 전력공급의 총체적인 난관에 빠져 있는 상황이다.
화력발전으로 전력을 생산해 발전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세가 급격히 올라가는 것을 막기 위해 긴급자본을 투입한 것.
브라질 재무부의 귀도만테가 장관은 "정부가 전력생산의 비용을 분담해 전기료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소비자의 재정적인 부담을 덜고 2015년까지 전력값을 인상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총 51억 달러의 보조금 중 16억9000만 달러는 재무부가 추가로 전력업체에 제공하고 전력거래소(CCEE)가 나머지 34억 달러를 모금해 전기회사에 융자를 제공해 향후 전기세가 점진적으로 인상될 예정이다.
정부 지원 16억9000만 달러 중 4억2000만 달러는 이미 올해 1월 배전회사의 적자를 구제하기 위해 지원된 상태.
내달 25일 추가적으로 에너지경매(A-0)를 실행할 예정으로 수주업체는 총 3200㎿ 규모의 전력을 4년간 규제시장에 공급하는 계약을 맺을 전망이다.
하지만 이같은 조치에도 불구하고 내년 전기세 인상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향후 전기세 인상은 에너지 경매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신재생에너지 중 발전단가가 저렴한 에너지 생산에 집중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향후 브라질에서 신재생에너지 수요가 점차 증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것.
이와 함께 송배전 과정에서 오는 전력손실을 줄이고 전력생산 감소를 위해 노후된 시설도 교체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코트라 관계자는 "이같은 브라질의 전력난으로 인해 전력기자재 수요가 증가하고 전력산업의 현대화를 위해 스마트그리드 도입 사업이 각광을 받을 것"이라며 "우리 기업들도 관심을 가지고 브라질 전력시장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