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유한킴벌리, 시차출근제 도입 1년만에 매출 10%↑…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10곳 중 9곳이 '효과'

글로벌이코노믹

유한킴벌리, 시차출근제 도입 1년만에 매출 10%↑…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10곳 중 9곳이 '효과'

[글로벌이코노믹 유은영 기자]

대한상의, 도입 기업 150곳 설문조사

근로자 "일·가정 양립, 직무만족도 ↑" …기업 "생산성 향상·이직률 감소"

유연근무제 확산 막는 큰 요인은 인건비 부담…면대면 기업문화 개선도 시급


이미지 확대보기

출퇴근 시간이나 근로 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유연근무제를 도입한 기업 10곳 중 9곳 이상이 제도 시행 결과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들은 일·가정 양립에서, 기업은 생산성 향상에서 효과를 보았다.

28일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에 따르면 ‘기업의 유연근무제 도입 실태’ 조사 결과 유연근무제를 도입한 150개 기업 중 138개사(92.8%)가 제도시행 결과에 '만족한다'고 답했다.

근로자 측면에서는 ‘일·가정 양립에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이 96.7%, ‘직무만족도가 높아졌다’는 응답이 96.0%에 달했다. 기업도 ‘생산성 향상’(92.0%), ‘이직률 감소’(92.0%), ‘우수인재 확보’(87.3%) 등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었다고 답했다.
정부가 올해 중점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전환형 시간선택제’에 대해서도 도입 기업의 93.8%가 ‘생산성 향상, 근로자만족도 제고, 업무집중도 증대, 기업이미지 제고 등의 효과를 보았다’고 답했다. ‘별다른 효과가 없다’는 기업은 6.2%에 불과했다.

그러나 국내기업의 유연근무제 도입률은 22.0%에 그치고 있으며 선진국과 비교해서도 낮은 실정이다.

근로자가 출퇴근 시간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시차출퇴근제의 경우 우리나라 도입률은 12.7%로 미국(81.0%), 유럽(66.0%)보다 낮다.

시간제도 유럽기업의 69.0%가 활용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11.3%에 불과하다. 탄력적 근로시간제와 재택근무 도입률도 각각 9.2%와 3.0%에 머물고 있다.

유연근무제 확산을 막는 가장 큰 요인은 비용 부담이었다.

대한상의가 유연근무제 도입을 검토중인 150개 기업들을 대상으로 도입 애로요인을 물은 결과 ‘대체인력 채용에 따른 인건비 부담’(24.7%)이란 답이 가장 많았다.

‘기존 근로자의 업무가중에 따른 불만’(23.3%), ‘근무조정, 평가 등 인사관리의 어려움’(22.7%), ‘적절한 대체인력을 뽑지 못하는 어려움’(14.7%)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대한상의는 "저출산·고령화를 경험한 선진국의 경우 일·가정 양립과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유연근무제 활용이 활발하다"면서 "과거 일하는 방식에서 탈피, 달라진 시대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유연근무제도를 도입한다고 모든 기업이 성과를 거두는 것만은 아니다.

가장 먼저 면대면(面對面) 업무방식과 장시간근로관행 등 기업문화를 개선하는 것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실제 중견기업 A사는 유연근무제를 도입했지만 얼마못가 사문화됐다. 상사눈치보기, 다른 직원들의 불만, 낮은 인사평가 우려로 사용하는 직원이 없어서다.

A사 직원은 “시차출퇴근제, 재택근무제를 도입했지만 인사권을 가진 부서장 스케줄에 따라 업무가 진행되는 문화가 여전하고, 자기 일을 다른 직원이 떠안아야 한다는 부담 때문에 활용사례가 거의 없었다”고 말했다.

반면 유한킴벌리는 면대면 업무방식을 개선하고 객관적인 인사평가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기업문화를 선진화한 이후에 재택근무 및 시차출퇴근제 등 유연근무제를 성공적으로 도입·정착시켰다.

그 결과 유연근무제를 도입한지 1년만에 매출이 10% 이상 늘었고 매년 대학생들이 취업을 선호하는 기업으로 꼽히고 있다.

김인석 대한상공회의소 고용노동정책팀장은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저성장 장기화가 예상된다"며 "기업은 기업문화 선진화와 유연근무제 도입에 적극 나서고 정부는 제도도입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은영 기자 yesor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