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자동차 열쇠는 가라" 현대차 지문인식 기술 개발

글로벌이코노믹

"자동차 열쇠는 가라" 현대차 지문인식 기술 개발

CNBC, 볼보,GM,BMW 열쇠 대체기술 개발 소개
현대차가 재래식 열쇠나 전자열쇠를 대체하는 지문인식 기술을 개발했다. 사진=현대자동차이미지 확대보기
현대차가 재래식 열쇠나 전자열쇠를 대체하는 지문인식 기술을 개발했다. 사진=현대자동차
[글로벌이코노믹 박희준 기자] 현대자동차가 자동차 시동을 거는 열쇠를 대체하는 전세계 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지문인식 기술로 자동차 열쇠를 대체하고 볼보와 제너럴모터스,BMW 등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EH 전자열쇠,암호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다고 미국의 CNBC가 최근 보도했다.

현대차는 중국에서 판매하는 싼타페에 지문인식 기술을 동비해 자동차 문을 열거나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CNBC의 표현을 빌자면 이제 자동차 열쇠는 일반 전화만큼 쓸모가 없어졌다.

운전자가 싼타페의 생체인식 센서 하나에 손을 대면 좌석 위치, 측면 미러를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고 한다.

볼보자동차는 스마트폰의 앱을 자동차 열쇠로 사용하도록 하고 전자열쇠는 옵션으로 제공한다. 스마트폰을 든 운전자가 자동차에 근접하면 블루투스를 통해 자동차를 연결해 문을 열고 운전자가 운전석에 손을 얹으면 자동으로 문을 닫게 한다.
BMW도 재설계한 2019년식 3시리즈에 비슷한 기술을 적용했는데 차이점은 최대 5명의 운전자가 앱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이 꼽힌다. BMW는 7시리즈 세단에서 운전자가 기능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해주는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대형 전자열쇠를 채택했다. BMW 역시 자동차 열쇠를 버릴 준비가 됐다고 CNBC는 전했다.

재규어는 E-페이스 SUV에서 NFC칩이 내장된 방수 손목밴드형 '액티비티 키'를 제공한다. 재규어 측은 수영을 하거나 하이킹을 할 때 차량 열쇠를 소지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다. 차량을 닫고 밴드를 손목에 단 밴드로 문을 여닫을 수 있다고 한다.

문제는 스마트폰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다른 시스템이 고장 날 때이다. 이런 경우 문을 열 재래식 연쇠가 다시 필요하다. 이런 불편함을 해결하는 게 바로 현대차의 '생체인식 센서'다. 생체인식 센서가 차량에 장착돼 있는 만큼 굳이 열쇠를 들고다니거나 착용할 필요가 없다.

물론 넘어야 할 산은 있다. 어떤 날씨에서도 생체인식 센서가 작동하게 하고 불결해도 작동하게 해야 한다. 현대차는 5만 번에 한 번 꼴로 오작동할 만큼 정밀하다고 주장한다. 이는 애플이 스마트폰 기반 시스템 오작동률과 같ㄷ아.

CNBC는 현대차는 현재 지문인식 시스템을 중국에서 판매하는 싼타페에 적용하고 있다면서 예상대로 되고 고객 수요를 창출한다면 이 기술을 다른 시장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박희준 기자 jacklondo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