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우기홍 대한항공 사장 "통합에 따른 독점 우려 없어"

글로벌이코노믹

우기홍 대한항공 사장 "통합에 따른 독점 우려 없어"

KAL, 아시아나항공과의 기업결합 신고 앞두고 입장 밝혀
내년 1월 14일 신청, 전담팀 대응
"항공사 M&A 승인 안 된 적 없어"
"인위적인 구조조정 없다" 재확인
우기홍 대한항공 사장이 2일 오후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아시아나항공 인수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사진=대한항공 유튜브이미지 확대보기
우기홍 대한항공 사장이 2일 오후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아시아나항공 인수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사진=대한항공 유튜브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통합 작업이 본격화 한 가운데 우기홍 대한항공 사장이 양사 통합에 따른 독점 가능성을 일축했다.

우기홍 사장은 2일 오후 온라인으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인천국제공항 슬롯 점유율은 40% 수준으로 지방 공항을 포함하면 이보다 더 낮아진다"라며 "일부 장거리 노선을 제외하면 독점이 일어나지 않을것"이라고 밝혔다.

우 사장은 이어 "저비용항공사(LCC)는 별도 운영돼 이들의 시장 점유율은 포함되지 않는다"라며 "항공사 인수합병(M&A)이 무수히 있었지만 그 자체가 승인 안 된 경우는 거의 없는 걸로 안다"고 덧붙였다.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추진하는 대한항공은 내년 1월 14일까지 각국 경쟁당국에 기업결합을 신청할 예정이다. 대한항공은 법무법인을 선정하고 전담팀을 만드는 등 기업결합 심사를 준비 중이다.
기업결합 심사는 M&A를 진행하는 기업이 향후 시장을 독과점해 공정한 경쟁을 해칠지 여부를 따지는 절차다. M&A 대상 기업은 경쟁사가 속한 국가마다 독과점 가능성을 심사받아야 한다.

물론 기업결합 심사와 별개로 실직을 우려하는 아시아나항공 직원들을 설득하는 일도 대한항공이 넘어야 할 산이다.

우 사장은 "통합이 된다고 해도 노선을 줄이지 않기 때문에 인력은 유지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년에 이르거나 자발적인 사직 등 자연감소 인원을 연간 1000명 정도로 예상한다"라며 인위적 구조조정 없이 자연감소와 부서 이동 등을 통해 인력 중복을 해결할 뜻을 전했다.

다만 아시아나항공 노동조합과 직접 접촉하는 것에는 다소 유보적인 태도를 보였다.

우 사장은 "대한항공은 55년 동안 인위적 구조조정을 안 했다"라면서도 "아시아나항공 노조는 아직 인수가 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필요하면 어떻게 소통을 할지 여부는 산업은행 등과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과 대립하며 산은의 한진칼 출자에 반대하는 KCGI(일명 '강성부 펀드') 등 '3자 연합'이 향후 본안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는 관측에 대해 우 사장은 "그와 상관없이 증자 일정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성상영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a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