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상장기업 영업이익 25% 증가…기업·업종간 ‘K-양극화’ 뚜렷

공유
0

상장기업 영업이익 25% 증가…기업·업종간 ‘K-양극화’ 뚜렷

한경연 "코로나 수혜 업종·상위 기업에 쏠림 현상 뚜렷"

이미지 확대보기
지난해 코로나19 국면에서도 국내 상장사 영업이익은 25% 증가했지만, 상장사 4곳 중 1곳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낼 정도로 어려웠던 것으로 집계됐다. 반도체와 가전 등 일부 코로나 수혜 업종과 상위 기업의 영업이익 증가가 두드러지며 기업 간 양극화가 뚜렷해졌다는 분석이다.

5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코스피·코스닥 비금융 상장기업 1017곳(2018년~2020년 매출액 데이터가 모두 있는 기업)의 별도 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조사 대상 기업의 매출액은 1076조1천억원으로 2019년(1093조원)보다 1.5% 줄었다.
매출액 감소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53조9000억원에서 24.9% 증가한 67조3000억원을 기록했다.코로나 반사이익을 누렸던 반도체, 가전 등 주력 산업의 이익률 개선 때문이라는 게 한경연의 설명이다.

한경연은 코로나 국면에서 기업간 K자형 양극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상장사 매출액 최상위 20%와 최하위 20% 사이의 평균 매출액 5분위 배율은 2019년 266.6배에서 2020년 304.9배로 확대됐다.

매출 상·하위 20% 기업 간 평균 영업이익 5분위 차이도 2019년 2386억 원에서 2020년 3060억2000만원으로 28.3% 늘었다.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도 감당하지 못하는 ‘이자보상배율 1미만’ 기업 수는 2019년 249곳에서 2020년 255곳(분석 대상 상장기업의 25.1%)로 증가했다.

양극화는 업종별로도 뚜렷했다. 코로나 진단키트 등에 대한 수요 증가로 작년 의료·제약업종은 영업이익이 2019년 대비 125.7% 급증했다. 전기·전자(64.0%), 음식료(27.4%), 소프트웨어·인터넷·방송서비스(18.6%) 등 비대면화 수혜 업종의 영업이익도 2019년 대비 크게 증가했다.

반면 유통·대면서비스(-26.4%), 사업서비스(-39.1%) 등 서비스 업종과 기계(-72.8%), 운송장비(-38.7%), 철강·금속(-37.8%), 화학(-27.1%) 등 전통 제조업은 작년 영업이익이 2019년에 비해 줄었다.

고용의 경우 작년 분석대상 상장사 종업원은 총 108만명으로, 2019년(109만1천명) 대비 1만1천명 줄었다. 화학 분야 종업원이 6665명(-7.5%) 줄어들고 유통·대면서비스에서 5794명(-6.0%)이 줄어드는 등 영업이익이 감소한 업종에서 종업원 감소가 두드러졌다.
SW·인터넷·방송서비스(2129명), 통신(1106명), 음식료(1012명) 등은 영업이익이 증가했음에도 종업원 수가 오히려 감소했다. 종업원 수가 늘어난 업종은 전기전자(4749명), 운송장비(2946명), 의료제약(1156명), 전기가스(265명) 등 4개에 불과했다.

특히 지난해에 영업이익이 10% 이상 증가한 7개 업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업종별 전체 영업이익 증가분 중에서 상위 3개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최대 191.8%(운수·창고)까지 나타나는 등 업종 내에서도 기업간 쏠림 현상이 뚜렷했다.

전기·전자 업종에서는 상위 3개사의 영업이익 증가분이 업종 전체 영업이익 증가분의 91.0%를 차지했다. 운수·창고와 비금속의 상위 3개사 비중은 각각 191.8%와 175.0%로, 상위 3개사를 제외하면 영업이익이 오히려 줄어들 정도로 업종 내 양극화가 심각했다.


한현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amsa0912@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