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철광석 산소 제거한 HBI 생산 투자 추진 위한 합의서 체결
HBI 공장 신설‧호주 철광석 광산 개발‧수소 파일럿 설비 투자 등
HBI 공장 신설‧호주 철광석 광산 개발‧수소 파일럿 설비 투자 등

핸콕은 포스코가 개발에 참여한 호주 로이힐 철광석 광산을 소유하고 있는 자원 전문 지주회사다. 오너린 지나 라인하트 회장은 로이힐 광산 개발이 포스코의 지원으로 성공적으로 실현된 후 각별한 우정을 쌓아가고 있으며, 올초 ㅍ포스코인터내셔널이 호주 천연가스 업체 세넥스 에너지를 인수할 때에는 사재를 출연해 지분을 투자하기도 했다.
양사는 29일(현지시간) 호주 퍼스에 위치한 핸콕 본사에서 저탄소 HBI 생산 프로젝트의 사업 타당성 조사를 위한 HoA(주요조건 합의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서명식에는 이주태 포스코 구매투자본부장과 개리 코테 핸콕 CEO(최고경영책임자) 등이 참석했다.
HBI(Hot Briquetted Iron)는 철광석에서 산소를 제거(환원)한 환원철을 조개탄 모양으로 성형한 가공품을 말한다.
합의서 체결을 통해 양사는 ▲HBI 공장 신설 ▲호주 철광석 광산 개발 ▲수소 생산을 위한 파일럿 설비 투자 등의 분야에서 상세 타당성 검토를 실시하고 투자 경제성 및 리스크 등을 면밀히 살펴본다는 방침이다.
양사는 핸콕이 보유한 호주 광산을 공동 개발하여 고품질의 철광석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수소를 환원제로 활용해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저감한 저탄소 HBI 제조 공장 신설을 검토한다. 나아가 환원제로 사용되는 수소 역시 호주의 우수한 신재생에너지 여건을 활용해 직접 생산하겠다는 계획이다.

포스코는 지난해 7월 핸콕과 HBI 생산 등에 관한 MoU(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예비타당성 조사를 실시해왔으며, 이번 HoA를 통해 올 연말까지 상세 검토를 진행한 후 투자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이 본부장은 “이번 협약은 포스코가 지주회사 체제하에 철강 전문 사업회사로 새롭게 출범한 이후, 저탄소 철강생산을 위해 처음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라며 “자원개발 역량을 확보한 핸콕과 함께 이번 기회를 통해 저탄소 철강원료 생산 추진을 검토하고 새로운 철강 시대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포스코그룹은 2050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친환경 생산체제를 선제적으로 구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지난 3월 지주사 포스코홀딩스를 출범하며 탄소중립 생산체제로의 단계적 전환과 친환경 인프라 구축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공고히 하여 친환경 미래소재 대표기업으로 발돋움하겠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다.
한편 포스코그룹은 핸콕과 향후 저탄소 원료, 에너지, 이차전지소재사업(니켈, 리튬) 등의 분야에서 신성장 비전을 공유하는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발전해 나갈 계획이다.
채명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oricm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