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JSW "미국‧유럽의 높은 관세할당 세계 철강시장 왜곡"

공유
0

JSW "미국‧유럽의 높은 관세할당 세계 철강시장 왜곡"

인도의 JSW스틸 본사.
인도의 JSW스틸 본사.
세계 시장에서 철강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JSW스틸은 현재 재정에서 자본 비용을 25% 절감해야 한다고 인도 JSW스틸의 재무책임자인 셰샤기리 라오가 말했다.

JSW는 3일(현지 시간) 인도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미국과 유럽의 높은 철강관세는 세계 철강시장을 왜곡한다”고 강조했다.
셰샤기리 라오 JSW스틸 공동경영이사 겸 그룹재무책임자(CFO)는 유럽이 철강 수입 쿼터를 확정한 반면 미국은 인도 철강업체와 같은 수출업체에 높은 반덤핑 관세를 부과함에 따라 현재 세계 철강시장이 크게 왜곡되고 있다고 말했다.

EU가 정한 할당량에 따라 인도 철강업체들은 연간 200만 톤 정도에 한정된 물량을 유럽에 수출하고 있다.

철강의 주요 소비국인 미국도 인도 철강제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했다. 미국은 모든 철강제품에 부과되는 25% 관세에서 열연코일(HRC) 제품에 부과되는 215.5% 관세를 부과했다. 2000년부터 일부 관세가 시행되면서 미국은 가장 폐쇄적인 철강 시장을 만들었다고 셰샤기리 라오는 강조한다.

이러한 할당량과 관세는 세계 철강 시장을 왜곡시켰고 철강 제품의 가격은 현재 미국 기준 가격, 유럽 가격, 아시아 가격 등 세 가지의 다른 방식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들 간의 가격 차이는 할당량과 관세 변경으로 인해 매년 확대되고 있다.

JSW로 자본 비용 4분의 1 절감


연초에 JSW스틸은 현재 회계연도에 2000억 루피(약 3조4360억 원)의 자본금을 계획했지만 2022년 7월 1분기 결과 이후 자본금 계획을 4분의 1인 1500억 루피(약 2조5770억 원)까지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원자재 가격 급등과 유럽 및 중국의 철강 수요 감소는 자본비용 절감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JSW는 현재 2천700만 톤에서 3700만 톤으로 생산 능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3년간 4800억 루피(약 8조746억 원)의 설비투자 전략을 실행 중이다.

셰샤기리 라오는 철광석, 코크스, 석탄 등의 원자재 가격과 함께 높은 에너지 가격이 전 세계 경제 활동을 약화시켰다고 믿는다. 전년 동기대비 유럽은 24%의 축소된 철강을 생산한 반면 중국 수요는 약 6% 감소했다. 높은 원자재 가격과 치솟는 금리로 수요가 파괴되면서 최근 6개월 동안 열연코일의 가격은 40% 폭락했다. 열연코일은 톤당 2000달러에서 톤당 800달러로 추락했다.

JSW는 지난 회계에서 철강 생산량 1900만 톤 중 500만 톤을 수출했기 때문에, 세계 시장의 침체는 자본 지출계획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라오는 국내 시장에서 철강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JSW는 4800억 루피(약 8조2464억 원) 규모의 자본 투자 계획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 국내 철강수요 향후 25년 내 3배 증가


1997년부터 2022년까지 전 세계 철강 소비량은 연간 7억 톤에서 18억 톤으로 증가했다. 연간 11억 톤의 증가된 소비는 이러한 증가된 소비의 77%를 구성하기 때문에 중국 수요의 큰 지지를 받았다. 이 25년 동안 전 세계 철강 수요는 매년 4%씩 증가했고 중국과 인도의 수요는 각각 8%와 6.5%씩 급증했다.

셰샤기리 라오는 철강 품질이 개선되면서 인도의 국내총생산(GDP) 성장을 기준으로 1달러 당 철강 소비 강도가 낮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도는 향후 25년 동안 전 세계 철강 수요가 연간 0.75% 증가하여 연간 22억 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셰샤기리 라오는 18억 톤의 현재 수요에서 4억 톤의 증가물량은 주로 인도에서 올 것으로 보고 있다. 2047년까지 인도는 4억 톤의 철강을 생산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 중 3억4000만 톤은 인도 국내에서 소비될 것이며 수출은 약 6000만 톤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회계연도에 인도는 1800만 톤의 철강을 수출했고, 1억2000만 톤을 생산했으며 1억60만 톤을 소비했다. 인도의 현재 생산능력은 연간 약 1억5000만 톤이다.


노정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oja@g-enews.com